Order:
  1.  5
    Boredom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 Focus on Evagrius’ Acedia(ἀκηδία) and Heidegger’s Fundamental Attunement –. 성대희 & 박병준 - 2023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3:5-34.
    권태는 지루함이나 따분함의 감정 이외에도 낙담, 우울, 냉담한 마음 등과 같은 인간 정신의 어둡고 우울한 면을 반영하는 기분이다. 이런 권태의 기분은 인간을 사로잡는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것으로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하이데거는 근본기분(Grundstimmung)이라고 말한다. 근본기분은 인간 현존재가 그때마다 바로 지금 거기서 자기의 존재 가능과 관련하여 자기 존재로 존립하게 하는 하나의 주요 계기이자 인간 현존재가 드러나며 개시(開示)되는 현존재의 근원적인 존재 방식이다.4세기 이집트 사막에서 은둔 수도 생활을 했던 사막교부 에바그리우스는 권태(아케디아)를 체계화시킨 최초의 인물로서 그의 주저 『프락티코스』에서 ‘아케디아’(ἀκηδία)를 다루고 있다. 아케디아는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3
    Coreth’s ‘Metaphysics as Horizon’. 박병준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6:1-2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4
    Human Desire in Modern Society - Exploring the Metaphysical Essence of Desire -. 박병준 - 2019 - The Catholic Philosophy 32:35-68.
    고대로부터 욕망은 결핍에서 비롯된 감정의 문제요 몸(신체)의문제로 인식됐다. 이 글은 욕망의 근원과 원리를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구명하고, 현대 사회에서 욕망의 현상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있다. 인간의 욕망은 우선 생물학적 필요와 요구로부터 자연스럽게 생성되지만, 근본적으로 한계를 모르는 정신의 무제약적 행위에 근거한다. 인간이 욕망하는 주체인 것은 인간이 신체를 갖고있기 때문이 아니라 바로 정신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신체적 욕구(physiological needs)는 생리적 한계를 갖지만, 정신적 욕구(mental greed)는 결코 만족하는 법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욕망은 인간에게 있어서 필연적으로 몸을 매개로 하는 정신의표현이기에 육체의 기능 없이는 불가능하다. 인간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2
    Spirituality and Healing - Groundwork of the Concept of Spirituality for ‘the Philosophy of Healing’ -. 박병준 & 윤유석 - 2015 - The Catholic Philosophy 25:63-96.
    영성이란 다층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어원적으로 영혼과 관련하여 생명의 원리로서, 특히 ‘지성혼(rational souls, anima rationalis)’과 관련하여 사물의 이치를 분별하는 로고스의 원리로서 이해된다. 그러나 내용적으로 보면 영성의 본질은 무엇보다도 정신의 초월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고는 전통 사상에 입각하여 영성의 기본 개념을 생명, 로고스, 초월의 원리로 규정하고, 이를 현대적 사유 안에서 이해 가능한 방법을 모색한다. 인간은 정신적 존재로서 ‘근본 물음(Grundfrage)’ 안에 놓여 있다. 물음 안에서 자기 존재의 궁극 의미를 향해 끊임없이 자기를 넘어서는 존재가 바로 인간이다. 이러한 철학적 인간학적 통찰에 근거하여 논의를 전개시키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