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found
Order:
  1. 다투지 않는 공화- 도가의 정치철학에 대한 전병훈의 견해 -.SeongHwan Kim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2:453-487.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7
    Religion, Illusion, Science and Culture in Freud’s The Future of an Illusion.Seonghwan Kim - 2021 - Modern Philosophy 18:29-49.
    나는 프로이트의『환상의 미래』에서 종교 관념에 대한 그의 견해를 분석해 다음과 같이 논증한다. 첫째, 프로이트는 환상을 망상과 구별하는 데 실패했다. 둘째, 그는 이 실패를 종교 관념의 참 거짓을 따질 수 없다는 작은 결론으로 실토한다. 셋째, 프로이트의 실토는 도킨스의 눈으로 보면 종교 관념에 대한 영구적 불가지론과 일시적 불가지론의 양립 불가능성을 위반하는 것이다. 넷째, 프로이트가 과학 연구를 환상의 무의식 영역과 관찰, 사유의 의식 영역에 함께 있는 것으로 본다고 해석하면 그는 두 불가지론의 양립 불가능성 위반에서 벗어날 수 있다. 다섯째, 『환상의 미래』에서 “문화 자산” 개념과『문명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The Concept of 'Illusion' in Nietzsche’s the Birth of Tragedy.Seonghwan Kim - 2020 - Modern Philosophy 16:117-141.
    나는 이 글에서 니체의 『비극의 탄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교통 신호기를 하나 제안하려 한다. 내가 “니체의 네 환상 단계”라 이름 붙이는 신호기다. “니체의 네 환상 단계”는 그가 말한 “세 환상 단계”와 그가 “말하지 않겠다”고 하면서도 말한 “더 저속하고 강력한 환상”을 합친 것이다. 나는 “니체의 네 환상 단계”라는 프레임으로 다음과 같이 논증할 것이다. 첫째, 『비극의 탄생』에서 니체가 아주 싫어한 환상은 “더 저속하고 강력한 환상”, 싫어한 환상은 “소크라테스 환상”, 좋아한 환상은 “호메로스 환상”, 아주 좋아한 환상은 “디오니소스 환상”이다. 둘째, 우리가 아폴론 환상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在唐 新羅人의 도교 활동과 羅唐간의 상호적 仙遊에 관한 연구.SeongHwan Kim - 2011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6:115-14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