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2
    Est-elle possible la poetique du desir? - l’intrication intime entre le surplus et le queer. 윤지영 - 2013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0 (null):121-14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5
    Le corps-joueur en tant que corps-pensee qui est une modalite de problematisation subversive. 윤지영 - 2014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1 (null):121-15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7
    Misogyny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Structure of Reality : From horror against the men to the ethics of immersio-pathy. 윤지영 - 2016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5:197-243.
    필자는 본 논문에서 미소지니의 어원학적 정의방식과 이 개념의 철학적, 형이상학적 함의를 고찰할 것이다. 나아가 이것의 사회, 문화적 개념화 작업을 현 사회의 맥락 안에서 재정의해 나가며 이것이 여성멸시와 여성비하로 번역되는 것이 왜 부적합한가를 논증할 것이다.BR 두 번째로 여성들이 어떠한 감각판 위에서 고질화된 폭력의 지반으로서의 일상을 경험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폭력의 현상학을 도입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남성혐오가 아닌 남성공포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여성의 일상 재편방식을 폭로함과 동시에 사회적 죽음과 생물학적 죽음의 두 죽음 사이에 가로놓인 여성의 경험을 통감의 윤리학을 통해 조망해 낼 것이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0
    Megalian Controversy as a Revolutionary Mirror: Is It Possible Man-hating? 윤지영 - 2015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4 (null):5-7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6
    The Body of Male Domination and the Problem of the Phallic Ideology : The Strategy of the Deconstruction of Penis-Narcissism and the Penis-Cartel. 윤지영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3:137-185.
    여성혐오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여성이라는 존재론적 차원의 물질성과 현실성을 기각시키거나 저항의 단위소를 무화시키는 것이 아닌, 성별 불평등 구조에서 지배계급성을 구성하고 있는 남성성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치밀한 분석과 해체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첫 번째로 남근질서라는 아버지의 법질서에서 팔루스와 페니스 간의 유착성-팔루스가 초월적이며 절대적 심급이 아닌 스스로 축소되고 사라져버리는 페니스의 유약성에 참조점을 두고 있는 내재적 결핍성의 지점임을 이론적으로 추적해나감으로써 남근질서의 해체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BR 두 번째로 남성지배의 축 중 하나인 페니스 나르시시즘이라는 개인적 정체성화의 작동방식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여기서 페니스는 해부학적 기관에 그치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7
    The Grammar of Female Exploitation In a Digital Matrix :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Digital Sexual Violence and Counter-Discourses on it. 윤지영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2:85-134.
    이 논문에서 필자는 가장 오래된 남성폭력의 기술화 버전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성폭력에 대한 철학적 담론을 개진해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 불법도촬 카메라의 전방위적 공간성의 작동방식과 디지털 데이터 베이스로 전환된 새로운 시간성의 구조를 분석할 것이다. 나아가 디지털 성폭력과 사이버 성폭력 개념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현재 담론지형에 개입해 들어가 볼 것이다.BR 두 번째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사물 인터넷에 기반한 초연결성을 통해, 불법도촬 카메라의 설치와 촬영이라는 물리적 공간에서의 활동이 사이버 공간이라는 디지털 매트릭스로 즉각 편입이 가능해짐으로써 여성신체이미지가 디지털 재화로 기능하는 측면을 분석할 것이다.BR 세 번째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