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mergence of Transcendence and Its Transformation - An Analysis of Conceptual Metaphor of Transcendence in Confucianism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61-184 (2018)
  Copy   BIBTEX

Abstract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체험주의(experientialism)의 은유 분석을 통해 유학에서의 초월적 존재의 ‘탄생’과 그것이 정치적ㆍ사회적 구조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변용’되어 가는 경로를 추적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전국시대 말 이후 새롭게 등장한 유학의 초월 개념 ‘태극’(太極) ‘태일’(太一) ‘하늘’[天]이 어떤 은유적 확장을 통해 ‘만물 생성의 시원’을 유추하는 문제에서 ‘정치적ㆍ사회적 구조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변용되는가를 논증하는 것이다.BR 1)『계사전』의 ‘태극’은 우주 만물의 시원(始原)을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은유적 확장물이다. 『계사전』은 『태극은 만물의 시원』 『태극은 우주 만물 변화의 원인자』 등의 은유를 탄생시킴으로써 우주의 생성론적 물음에 답할 수 있도록 유학적 단초를 제공했다. 2) 여씨춘추의 통일제국에 대한 지향은 만물의 시원을 넘어 객관성ㆍ보편성ㆍ법칙성의 표상하는 『태일=도(道)=군주』 은유를 탄생시켰다. 그리고 『태일=도=군주』 은유를 중심으로 『태일[도]ㆍ군주/만물ㆍ신하』 『군주는 명령을 제정하는 자/신하는 명령을 따르는 자』 은유들을 조직, ‘수직적 계급 구조’를 구축했다. 3) 동중서는 초월자 ‘하늘’을 ‘왕권 신성화의 표상’으로 해석한다. 그는 『군주=하늘』 은유를 중심으로 『인간은 하늘과 동류』 『군주는 하늘의 아들』 『군주의 권능=하늘의 권능』의 은유 체계를 조직, 군주의 힘과 위상을 신격화한다.BR 무엇을 어떻게 의미화 할 것인가는 특정 개념을 사용하는 우리의 ‘목적’과 ‘의도’에 따라 조정되고 확대, 혹은 축소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모든 개념들은 비고정적이다. 이 연구가 시도하는 초월 개념의 탄생과 변용에 대한 검토는 ‘개념 그 자체’에 대한 탐색이 아니라, 그것에 투영된 사용자들의 ‘목적’과 ‘의도’를 읽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삶을 지배하고 있는 개념체계를 되돌아보게 하는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concept of Dào as the basic axiom of Zhōuyì and Tàijà, Liăng-yì, Sixiàng and Bāguà. 정석현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399-427.
Taoism's cosmology on Yi-wei(易緯). 방인 & 석미현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4:163-181.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Forgiveness as Something We do. 이선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8:75-96.
Metaphor and Symbol of I ching. 구미숙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23-53.
An Experientialist Account of Price’s Functional Pluralism. 김혜영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169-191.
Frame Building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Frame Deconstruction of the Zhou Yi. 안승우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281-312.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3 (#1,213,485)

6 months
3 (#1,723,83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