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hilosophical Project about the Concept, Death Drive : Death Drive in "Homo Ludens"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5:25-44 (2016)
  Copy   BIBTEX

Abstract

필자의 논의는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의 “모든 충동은 죽음의 충동”이라는 라캉의 주장에 대한 동의에서 출발한다. 「쾌락 원칙을 넘어서」에서 프로이트가 죽음 충동 개념을 도입한 이래로 죽음 충동에 관한 많은 유의미한 논의들이 있어왔다. 그러한 논의 중에는 엄밀성에 있어서 가치 있는 연구들도 있었고 삶의 가치를 풍요롭게 해 줄 연구들도 있었다. 개념 자체에 관한 논의들은 프로이트의 기획의 본 의도를 더욱 명확하게 해 준 것들도 있었고, 그의 논의가 가진 맹점을 날카롭게 비판한 것들도 있었다. 개념의 엄밀성을 보다 정교하게 해 줄 연구들은 지금도 여전히 풍부하게 진행 중일 것이다. 그래서 필자의 연구는 그와는 다소 다른 관점에서 기획됐다. 필자는 오늘날 우리에게 가장 절실한 것으로서 삶에 대한 보다 건강하고 건전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설명을 꼽는다. 그리고 그러한 설명이 다름 아닌 철학함이고, 철학 실천이라고 이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철학에 관한 필자의 그와 같은 기본적 이해 혹은 신념의 바탕에서 출발한 것으로 필자는 본고에서 죽음 충동 개념을 통해 새로운 철학적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말하는 주체”로서 우리가 처한 구조적 현실에서의 여러 고통들은 상징과 실재를 등가화하려는 시도 속에서 발생한다고 본다. 결코 등가화될 수 없는 불가능한 것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시도되는 실재의 상징화는 또 다른 불가능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지만, 그러한 충동들은 그 과정에서 우리에게 ‘너머의 쾌’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또한 충동하는 주체에게는 상징의 무한 부정을 통해 자유롭게 삶을 새롭게 해석해낼 수 있는 자유가 허락된다. 필자는 그런 종류의 충동들을 다름 아닌 “호모 루덴스”의 “죽음 충동”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이것이 고통을 넘어서는 고양된 삶에 이바지 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12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Is the Death of a Youth Worse than the Death of a Baby? 김한승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2:165-188.
On the Ethical Limitation of AMA (Artificial Moral Agent). 이향연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5:103-118.
A Study of Nietzsche’s Concept of Time. 남재민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83-102.
A Study of Schiller’s Concept of Play Drive. 정진범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8:1-31.
A Study on the Meaning of Death in Kant"s Philosophy. 김영례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321-344.
Mourning and Forgiveness of the Death. 공병혜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3-45.
An ‘Impartiality Thesis’ as a Criterion of Justification for Moral Judgment. 이재숭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153-167.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4 (#1,644,260)

6 months
2 (#1,259,87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