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the Death of a Youth Worse than the Death of a Baby?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2:165-188 (2017)
  Copy   BIBTEX

Abstract

죽음이 죽음의 당사자에게 나쁠 수 있는지 하는 물음은 오랫동안 철학자들 사이에서 논의되어 왔다. 반면 죽음을 맞이하는 시기가 죽음을 더 나쁜 것으로 만드는지 하는 물음은 별다른 주목을 받아오지 못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젊은이의 죽음이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쁘다는 주장을 정당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죽음의 더 나쁨을 허용하는 이론 중에서 ‘비례 설명’과 ‘심리적 연결 설명’을 대표적으로 소개한다. 이 두 설명이 만족스럽지 못함을 보이고 나서, 필자는 죽음의 시기에 따라 죽음이 더 나빠지는 또 다른 근거로 죽음이 죽음 당사자의 과거 노력을 헛된 것으로 만들기 때문이라고 논변한다. 이는 박탈이론이 죽음에 대한 균형적인 통찰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59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Zhuangzi’s View on Death and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오현중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63-182.
Life, Death, and Well-being - Two Competing Theories of Well-being and the Timing Puzzle. 이희열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6:407-424.
Na nŭn ŏttŏk'e chugŭl kŏt in'ga.Yŏng-an Kang (ed.) - 2016 - Kyŏnggi-do P'aju-si: 21-segi Puksŭ.
The philosophical Project about the Concept, Death Drive : Death Drive in "Homo Ludens". 남경아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5:25-44.
The Ought-Implies-Can Principle and Epistemic Normativity. 이병덕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5:161-18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0

6 months
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