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ssibility of Grand-narrative after Deconstruction and Agamben - Focusing on Agamben’s bare life and coming community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1:103-136 (2017)
  Copy   BIBTEX

Abstract

이 연구는 아감벤 사상의 핵심으로서 ‘벌거벗은 생명’과 ‘도래하는 공동체’를 중심으로 아감벤이 어떻게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시대에 다시 보편성과 공통성, 또는 보편 원리를 통해 역사와 세계를 포착하는 관점을 제공해주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이때 이 연구는 아감벤에게 통상적으로 가해지는 비판(현실에 대한 적응성 및 실천적 전략의 부재, 비관주의 등등)에 대해 직접적인 검토를 통해 아감벤을 평가하고 그것을 옹호하고자 하는 전략을 취하지 않는다. 여기서 본 연구자는 아감벤의 사상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아감벤의 주저, 『호모 사케르』를 중심으로 그의 논의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여기서 필자는 아감벤의 논의가 포스트모던적 해체 ‘이후’의 시대에 차이와 다양성을 넘어 다시 보편성과 공통성을 사유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며, 그것이 그의 ‘거대 서사’로 드러난다고 파악한다. 그의 거대 서사는 역사가 고대로부터 ‘벌거벗은 생명’, ‘호모 사케르’의 배제 및 포함이라는 보편적 원리에 의해 관통되고 있다는 입장에 바탕을 둔다. 이러한 거대 서사를 통해 아감벤은 푸코의 ‘생명 정치’를 수용하면서도 ‘생명 권력’의 분석에만 그쳐 버린 푸코를 넘어, ‘주권 권력’의 해명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역사는 주권 권력에 의해 벌거벗은 생명이 끊임없이 배제 및 포함되어 간 역사이다. 바로 여기로부터 그는 근대 민주주의의 아포리아를 말하면서, “민주주의와 전체주의 사이의 내적 연대”를 말할 수 있다. 이로부터 그가 제시하는 ‘도래하는 공동체’는 ‘미래의’ 어떤 공동체가 아니다. 그것은 임의적 존재들의 ‘임의적 특이성’에 근거하여 구성되는 개인들의 공통성, 보편성에 근거하는 공동체이다. 이러한 공동체는 어떤 정체성의 표명으로부터도 벗어난 개인들, 전지구적인 쁘띠부르주아지들의 연대에 의해 지금 여기에서 구현되는, 또는 구현될 공동체이다. 여기서 아감벤은 배제와 포함이 없는 공동체, 폭력과 차별이 없는 공동체, 내버려짐이 없는 공동체를 말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는 인권과 주권 개념에 기초한 공동체가 아니라, 난민의 형상에 기초한 공동체를 말하고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gamben’s Concept of Negativity and Aesthetics. 김지혜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1:135-152.
Import-export Principle and the understanding of conditionals.Wonbae Choi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6:129-151.
The Concept of Law in Deleuze and Agamben.강선형 )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68:143-173.
On the Ethical Limitation of AMA (Artificial Moral Agent). 이향연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5:103-118.
The Common of Postmodernity and Communities of Everyday life. 하용삼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195-220.
On the Life Which is Shown What Cannot Be Said. 하영미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393-420.
Wittgenstein and Mauthner’s Critique of Language. 박정식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07-126.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3 (#1,213,485)

6 months
2 (#1,816,2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