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iority Debate on Infinitesimal Calculus in Terms of the Rhetorical Understanding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7:143-175 (2019)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수학과 과학에서 미적분계산법의 원 저작권에 관련된 유무형의 사용대상의 지적 소유권 귀속논의이다. 미적분계산법은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독립적으로 발견한 것이며, 영 국과 대륙의 수학자그룹은 1699년에 시작하여 1714년까지 우위논쟁을 벌였다. 수학적 계산 방법의 지적인 소유의 귀속 사안은 실용적 효용성과 순수한 추상성과 인간지식의 문화적 보 편성에 비추어 결코 심각한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자연법과 자연현상이 원 저작권자에 의 하여 언제 발견되고 어떻게 설명되는지는 원저자의 지적 권리와 우위에 대한 표준적 규범화 요구와 관련되기 때문에 과학의 진보와 과학과 수학교육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게다가 수학적 발견에 따른 권리와 표준지식의 규범화는 학문공동체의 도덕적 의무로 위임되면서 원저자의 수학적 대상의 발견의 우위의 정당성확보를 위한 노력은 국가차원의 지지를 받아 온 문화적 우월성의 표현이다. 과학에서 지적 우위의 특권을 얻는다는 것은 표준지역에서 비표준지역에로의 지식 확산을 의미한다. 뉴턴이 뒤늦게 미적분계산의 우위를 주장하고 나 섰지만 오늘날 국제학술지 인용지수의 관점에서 보자면 라이프니츠에게 더 많은 지적인 귀 속이 가야 한다. 뉴턴이 계산방법을 먼저 고안하여 사용하고도 출간은 뒤로 미루었던 것은 17세기 바로크과학 연구관행의 정체성 때문이다. 미적분계산법의 우위에 관한 액면논쟁에 서 양자는 미적분학의 동등한 발견자로 인정된다. 미적분계산법의 최초의 발견과정은 어떠 하였는지를 평가하는 논증장소에서 당사자와 주변연구진은 원저자의 권리귀속을 수학적으 로만 해결하지 않았다. 그들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미적분계산법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 면서 용어 사용의 기술적 정당화를 시도하였다. 미적분계산법은 수사학을 통하여 발전할 수 있었고 18세기 유럽의 수학과 과학기술 분야에 비약적 발전을 이끌 수 있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wo Faces of Identity Politics : From Identity Politics to Decentralized Citizenship. 이상환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7:177-202.
A Theoretical Study on the Pure Cognition of Schopenhauer. 이동건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193-229.
Etiquette’s Duality and The Virtue. 김덕수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18.
The Principle of Allocating the Wùxiàng in Shuōguàhuán to bāguà. 정석현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305-330.
The Constructivism, Structuralism and Structure-Constructivism in Mathematical Philosophy. 문장수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225-262.
Human Moral Enhancement via AI. 이을상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183-204.
The Forking Paths Model and the No Constraints Model of Freedom and Moral Responsibility. 이희열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381-40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3 (#1,213,485)

6 months
2 (#1,816,2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