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chard Serra’s Site-specific Artworks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f Merleau-Ponty: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the Body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100:123-155 (2024)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1908-1962)의 현상학적 시각으로 리처드 세라(Richard Serra, 1939- )의 장소 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에 관한 예술철학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장소 특정적 미술에서 몸의 체험은 가장 중요한 작품완성 요소이다. 2차원의 회화를 감상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몸의 일부인 눈의 시각적 체험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장소 특정적 미술에서는 시각 외에도 청각, 촉각, 후각, 운동감각과 공간 감각 등의 다양한 감각이 융합된 총체적 몸의 체험이 부각 된다. 이러한 몸의 체험은 육체와 정신으로 이분화되는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적 사유 방식이나 게슈탈트의 시지각 이론(Gestalttheorie)으로는 이해하기 힘들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본 논문에서는 메를로-퐁티의 몸에 관한 사상을 중심으로 리처드 세라의 장소 특정적 미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더불어 기존의 비평과 연구에서 한 걸음 나아가기 위해, 세라 작품의 현상학적 측면과 그의 일본 선(禪) 정원에서의 경험에 함께 주목하면서, ‘선 정원 경험의 현상학적 측면’과 ‘동양의 유(有)와 무(無)’ 개념에 대한 논의와 함께 세라의 작품세계에 관한 고찰을 진행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M.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Linguistic theory. 배상식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1:117-141.
Technique and Body from Merleau-Ponty’s Philosophy. 심귀연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1:163-185.
Body Memory and Self-identity. 공병혜 - 2018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8:149-178.
Book Review: 『Merleau-Ponty’s Body Phenomenology』 What is Philosophy? [REVIEW] 심귀연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1:269-290.

Analytics

Added to PP
2024-04-15

Downloads
4 (#1,013,551)

6 months
4 (#1,635,95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