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Yi ik’s Study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eory of Governance - Focusing on Interpretation the Theory of Investigating Things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8:21-45 (2024)
  Copy   BIBTEX

Abstract

성호의 격물해석은 격(格)자의 자의(字意)분석에서 출발하는데, 특히 글자나 구문의 형식을 밝히는데 주력한다. 자의분석 과정에서 주희의 격물설은 자연스럽게 논파되며, ‘격물치지(格物致知)’와 ‘물격지지(物格知至)’는 인식 주체인 ‘나’를 중심으로 재정의된다. 평천하부터 격물치지까지가 일련의 공부과정이 아니라 각각 개별적인 공부가 되며, 각각의 공부에 따라 물격지지부터 천하평까지가 개별적인 공효가 된다. 성호의 격물설은 표리(表裏)와 정추(精粗)의 개념을 중심으로 구체화된다. 표와 리는 내몸을 기준으로 구분되며, 표지도(表之到), 리지도(裏之到)라는 개념을 만들어 ‘리도(理到)’를 대체한다. 추와 정은 ‘추상적 개념’과 ‘구체적 내용’으로 정의된다. 표리와 정추는 인식론적 접근을 위한 일종의 범주개념이다. 성호는 이러한 범주개념을 통해서 성리학의 형이상학에서 간단히 벗어나며, 체용 범주를 무력화시켰다. 성호의 격물설에서 인식의 대상은 만물로 확장되며, 인식의 기준으로 몸[신체]이 등장한다. 또한 추상적 개념보다 구체적 형식 및 실질적 내용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러한 것은 성호가 생명을 가진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정책과 제도를 통한 민생의 안정을 추구한 경세론의 이론적 기초가 될 수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59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王夫之의 格物致知 理解 — 과 를 중심으로 —.Ham Hyun-Chan - 2011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5:375-403.
清代哲學中格物致知理論之探究. 黃金色梅 - 1985 - NTU Philosophical Review 8 (8):231-255.
Zhou rudeng’s Doctrine of Mind and Nature. 이상훈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39-261.
格物致知論의 道德敎育的 含意.은주 박 - 1999 - Journal of Moral Education 11 (1):269.
Xunzi’s Theory of Justice and Utility and Economic Ethics. 박영진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2):339-366.

Analytics

Added to PP
2024-03-13

Downloads
7 (#603,698)

6 months
7 (#1,397,30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