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o Aestheticus and the Open Concept of Art - Family Resemblance, Forms of Life, and Artification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53-82 (2023)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분석미학사에서 이뤄졌던 ‘예술의 열린 개념’ 논쟁을 검토하고, 비트겐 슈타인의 ‘가족유사성’ 개념에 제기되는 상대주의 문제를 ‘자연사’에 대한 이해와 ‘미학적 인간의 공공성’의 관점에서 완화하는 데 있다. 먼저 예술의 열린 개념 논제는 「미학에서 이론의 역할」(1956)이라는 와이츠의 논문으로부터 출발한다. 와이츠는 이 논문에서 예술 을 필요충분조건으로 정의할 수 없는 열린 개념이라고 규정하고, 가족유사성에 근거한 예 술 정의의 가능성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기 분석미학자인 캐럴은 예술의 열린 개 념 논제를 ‘정의불가론’이라는 회의주의자의 논변으로 분석한다. 그 주된 근거는 가족유사 성이 ‘전시적인’ 유사성에 토대를 둔다는 데 있다. 캐럴은 이 유사성에 제약이 없다면 1) 모든 것이 예술이 된다는 상대주의적인 결론을 함축하게 되거나, 2) 그러한 함축을 피하기 위해 필요 또는 충분조건을 제시하는 순간 더 이상 유사성에 기반한 정의를 실현할 수 없 는 조건적 정의가 된다고 비판한다. 이 문제에 필자는 와이츠의 문제의식과 비트겐슈타인 의 가족유사성 개념을 다시 옹호함으로써, 예술은 열린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대신 가족유 사성의 제약적 구조는 후기 비트겐슈타인 언어에 대한 자연사적 이해와 문화인류학자로서 디사나야케가 제공하는 ‘예술화’ 개념의 공공성을 통해, 예술의 기원에 관한 발생론적 해 명을 필요로 한다고 밝힌다. 그 결과 이 글은 예술 정의 문제에서 비트겐슈타인적인 탐구 의 방향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제안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77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rt and Physiology - Focusing on Philosophy of Nietzsche and Dewey -. 정낙림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369-395.
Lopes Incomplete Suggestion on What Art Is. 박요한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241-263.
Art and Communication - On Dewey’s Philosophy of Art -. 국순아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3:17-38.
The Symbolic Emergence and Habitus - Beyond the Epistemological Fallacy -.Hyeyoung Kim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8 (88):43-75.
The Languages of Art and the Non-Transparency of Symbols. 김혜영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0:179-204.
The Linguistic Ontology and Symbolic Affordances. 김혜영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7:55-82.
The Meaning of Art Works in Esthetical Theory of T. W. Adorno and Educational Implication. 노은임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181-198.

Analytics

Added to PP
2024-01-16

Downloads
7 (#1,403,235)

6 months
7 (#592,86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