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nconscious God' in the 'Logotherapy'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8:213-234 (2019)
  Copy   BIBTEX

Abstract

의 저자 빅터 프랭클은 수용소에서 있으면서 인간에게는 생존 이상의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말한다. 로고테라피로 알려진 그의 이론은 인간에 대한 실존적 분석을 토대로 한 의미 중심의 심리요법이다. 인간은 궁극적으로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이며 그 의미는 유일한 것이다. 양심이 그 의미를 알려주는데 양심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것인지 외면할 것인지는 자유이다.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 상황에 굴복하지않고 그 상황이 가진 의미를 찾아내 의미 있는 삶을 살 것을 선택한다면 인간은 자신을 초월하게 된다. 결국 인간은 주어진 상황의 의미를 발견할 때 자기 삶에 책임 있는 자세를취하게 되고, 자아초월적 단계에 들어간다. 양심의 목소리는 직관적이고 초월적이며 절대적이다. 마치 신의 목소리와 같다. 그래서 프랭클은 인간의 무의식에는 종교심이 있다고한다. 이러한 그의 주장을 살펴보기 위해 2장에서는 로고테라피, 3장에서는 신의 무의식성을 다루고, 4장에서는 프로이트, 아들러, 융의 신 개념을 비교해 살펴본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09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4 (#1,644,260)

6 months
2 (#1,259,87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