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4
    Felix Guattari’s Ecophilosophy: Chaosmose, the Production of Ecological Subjectivity and Eco-Democracy. 박민철 & 최진아 - 2019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7:233-258.
    생태주의는 생태적인 사유와 실천에 이념적 지위를 부여하는 가치관이자 이데올로기이다. 특히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자본주의의 전지구화 속에서 발생한 엄청난 생태계의 위기들은 생태주의에 대한 커다란 관심을 불러왔다. 하지만 생태계 파괴는 자연의 오염과 훼손을 넘어서서 근본적으로는 인간의 실존적 생활양식의 파괴라는 점에서 쉽게 지나칠 수 없는 위험이 되고 있다. 펠릭스 가타리는 이러한 생태위기의 근본원인을 자본주의로부터 찾는다. 그는 나아가 현대자본주의 사회의 비판을 토대로 생태위기의 극복을 주체의 해방과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가타리의 생태학적 기획은 자연-사회-인간이라는 세 가지 생태학적 영역의 변혁을 주도할 새로운 주체성의 생산을 핵심으로 삼는다. 가타리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2
    The Cultural Movement of Cheondogyo and Postcolonial Modern Planning: Focusing on “Gaebyeok”. 박민철 & 이병태 - 2021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4:33-6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5
    The Thesis of Philosophy of History in Colonized Joseon: Focusing on Park Chi-woo’s “Fatalism”. 박민철 - 2021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2:91-118.
    박치우는 식민지 조선의 철학자들이 수행했던 역사에 대한 철학적 사유의 특징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박치우의 역사철학적 사유 내에서 핵심적인 위상을 차지하는 개념을 포착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박치우 역사철학의 변화 양상을 드러내고자 했다. 특히 박치우에게 ‘운명’ 개념은 역사, 사회, 인간을 아우르는 박치우의 철학적 관점 전체를 유기적으로 통합시키고 나아가 그의 이론과 실천을 적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마리가 된다. 무엇보다 ‘운명’ 개념은 식민지의 구체적인 모순에 대한 주체적인 경험, 식민지 모순의 극복을 자신의 역사적 책무로 자각하는 역사철학적 사유, 나아가 식민극복을 위한 역사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
    A Study on the Criticism of Traditional Oriental Ideology in the 1910s and 20s in Hakchigwang -Focusing on the start and development of discourse-. [REVIEW] 박민철 & 도지인 - 2024 - EPOCH AND PHILOSOPHY 35 (1):51-9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