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artmass'

Order:
  1.  4
    Public Sphere of Art, Public and Artmass. 이하준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349-369.
    이 논문은 하버마스의 예술 공론장과 단토의 이론을 발전시킨 디키의 예술계 개념과 관련된 문제를 비판적으로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예술 공론장과 예술계는 사적 영역과 공적영역, 주체적 공중과 상대적으로 수동적인 예술대중, 예술의 안과 밖과 ‘안’에 한정이라는 차이를 보여준다. 예술 공론장의 자율성은 하버마스가 말하는 바와 달리 제한적이다. 예술공론장의 붕괴는 예술 민주주의의 시발점으로 다르게 해석 가능하다. ‘하버마스의 논의는 근대적 예술계의 총체적 행위주체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예술계는 새로운 전문화된 다른 형식의 예술 공론장의 성립으로 평가된다. 디키의 사회학적 시각이 배제된 ‘예술계’ 개념은 일면적인 분석에 빠지기 쉽다. 새로운 형식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