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A Study about Establishment of Gānzhī (干支) in the Theorization of Zǐpíng (子平) Mìnglǐxué (命理學). 신정원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8:85-105.
    命理學이란 중국 고대로부터 시원하여 음양오행에서 발현된 천간과 지지로 사람의 命式을 세우고 다양한 논법으로 길흉을 해석하는 학문이다. 논법의 이론화는 命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시작된 漢대에 첫 번째 분기점을 맞이하였고, 宋대 초기에 그 논리가 정교해지고 법칙이 규격화되었다. 음양오행, 천간 지지, 운명과 길흉 등에 관한 학술적 의미는 꾸준히 연구되어 왔지만 명리학이라는 명칭을 덧씌우면서 학술의 전당에서 제대로 안착하지 못하는 현실도 경험하였다.BR 子平명리학은 송대 이후 전개된 명리학의 今法이론을 칭한다. 이 논문은 명리학의 금법이 정립된 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계사전」의 ‘易有太極’에서 시원하여 『太極圖說』과 『易學啓蒙』에 이어진 태극・양의・사상・팔괘의 생성 사유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3
    Concealment and Disclosure : Feminist Implications of Hyperconnectivity. 신정원 - 2019 - Korean Feminist Philosophy 31:61-84.
    이 글은 시론적 성격을 갖는 것으로서, 기술의 급속한 발달을 배경으로 새롭게 일어나고 있는 여성주의운동을 #미투 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미투 운동이 나타내보이고 있는 여성주의 이론적 실천적 변화의 철학적 함축을 기술과학과 연관된 측면에서 다룬다. 최근 일어난 #미투 운동의 참여자들이 사건 폭로로 인해 주변으로부터 겪게 될 고통을 감수하면서 성평등한 사회를 만드는 이상 추구에 동참하게 되는 과정과 이유들을 되짚어봄으로써, 여성주의 인식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 고찰한다. 또한 초연결사회의 도래로 인한 인간주체와 환경의 변화가 여성주의에 어떤 도전과 가능성을 제공하게 될 것인지, 초연결성의 여성주의적 함축에 대하여 생각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3
    한국 영화의 가족담론을 통해 본 여성주체 : 영화 와 를 중심으로. 신정원 - 2017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7 (null):59-9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3
    Multiculturalism and Feminism: The 13th IAPh Symposium. 신정원 - 2008 - Korean Feminist Philosophy 10:111-12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4
    Women, aesthetic experience, and alterity: From confluence of feminist aesthetics with intercultural philosophical perspective. 신정원 - 2012 - Korean Feminist Philosophy 18 (null):97-12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