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l Jung’s Theory of Synchronicity and I Ching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33-62 (2023)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분석심리학의 창시자인 칼 구스타프 융이 근대 자연과학의 토대가 되는 인과율 과 동등한 위치에 있다고 가정한 동시성 이론의 의미와 『주역』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융은 1920년대 초에 『역경』을 독일어로 번역한 리하르트 빌헬름을 만났을 때 이미 20년 이상 점술에 몰두해 있었다. 그는 『역경』의 점술 경험에서 ‘묻고자 하는 상황과 대응되는 괘 사이에 우연을 넘는 일치가 있음’을 알고 빌헬름의 추모제(1930)에서 처음으로 이 규 칙성에 ‘동시성적 원리’라고 이름을 붙였다. 융은 「역경 서문」(1948)에서 동전점으로 『역경』의 동시성 사례를 보여준다. 그 결과, 융은 자신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심리적 상태 와 미묘한 기분을 『역경』은 매우 깊은 통찰과 탁월한 직관력으로 자신이 처해있는 상황을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 규칙성이 인과율에 대응되는 하나의 원리가 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깊은 사색이 필요하였다. 긴 숙고 끝에 그는 양자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의 지지와 협력을 얻어 「동시성에 대하여」(1951)와 「동시성: 무인 과적 연결원리」(1952)를 발표하였다. 이 저서에서 “동시성은 지금까지의 과학적 지식으로 는 미진하여 공통 원리로 환원할 수 없는 심리적 사건과 심리-물리적 사건 사이의 시간과 의미의 병행론을 가리킨다.” 융에 따르면 동시성 현상이 일어나는 배경에는 정신과 물질 너머에 정신도 물질도 아닌 하나의 세계 ‘우누스 문두스(unus mundus)가 있으며 근대 자 연과학 이전 연금술, 점성술 등의 세계관인 상응 우주가 그 기반이 된다. 그리고 동시성 현상은 태고적부터 현대까지 수없이 반복되어갈 인류의 근원적 행동유형이며 두드러진 누 미노제적 성격을 지닌 원형(原型, Archetype)과 관계되며, 시간과 공간을 넘어선 무의식 의 선험적 앎인 절대지에 의해 앎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심리 적 상황의 주관성과 1회 성으로 끝나는 동시성 현상의 특성 때문에 동시성 이론을 보편적 학문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려는 융의 시도는 그다지 성공한 것 같지 않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1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Metaphor and Symbol of I ching. 구미숙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23-53.
The Kinship between Lao Tzu’s Dialectic Thought and the Book of Changes.Chengri Piao & Seongchul Yun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8 (88):3-42.
Crisis Management Philosophy of the Zhouyi 周易. 안승우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323-358.
As the Thought System of Zhouyi 周易 Studying the Ethicality of Weijing 畏敬in Yidao 易道. 김여정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4:79-100.
Aspects of the Aesthetic Spirit Appeared in The Book of Changes. 이기훈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147-164.
A Study of Wang Pi’s Translation of the Book of Changes. 신상후 - 2019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5:31-61.
象山學의 學問的 淵源과 心卽理에 관한 硏究. 염호택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423-445.
The concept of Dào as the basic axiom of Zhōuyì and Tàijà, Liăng-yì, Sixiàng and Bāguà. 정석현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399-427.

Analytics

Added to PP
2023-10-24

Downloads
10 (#1,207,970)

6 months
8 (#507,68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