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Yulgok’s Determination (立志) Theory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2:135-169 (2018)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율곡의 ‘학문’관을 바탕으로 하여 ‘입지’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율곡이 ‘학문’을 단순히 지식을 추구하고 쌓아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사람세상의 일원으로 참여하며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람 됨됨이를 갖추게 하는 것이라고 함을 논하였다. 이렇게 보면, 율곡에게서 학문 · 배움은 사(私)의 영역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공(公)의 차원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율곡이 ‘입지’의 네 절목으로서 들고 있는 ‘횡거사구(橫渠四句)’를 통해 확인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송유(宋儒)들에게서 비롯된 ‘희성(希聖)’관이 율곡의 ‘입지’론의 근거임을 밝혔고 율곡이 말하는 공부(工夫)의 요체에 대해서도 논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필자는 율곡 ‘입지’론의 논리적 근거를 확실히 하고 그 실현가능성을 담보하였다고 본다.BR 나아가 필자가 본 논문에서 한국병의 하나로서 지목한 ‘사교육의 만연’에 ‘입신양명(立身揚名)’이라는 이념[ideology]이 병인(病因)으로서 자리 잡고 있음을 밝혔다. 한국인들이 이를 위해 매진하다보니 사교육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 사교육이 한국인들을 평생에 걸쳐 옭죄는 족쇄로서 작용하고, 그 결과 한국인들이 행복할 수 없는 삶으로 점철함을 논하였다.BR 필자는 여기에서 이 ‘입신양명’이 우리 국가공동체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철저하게 사(私)의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데 특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학문과 배움을 공(公)의 차원에 설정하고 있는 율곡의 ‘입지’론이 그 대척점에 있는 것으로서, 이념으로서의 ‘입신양명’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임을 논하였다. 필자는 율곡의 이러한 ‘입지’론에서라면 사교육이 싹틀 수 있는 여지자체가 없으며, 그 토양 자체가 원천적으로 배제되어 있음을 이러한 근거에서 논하였다. 아울러 그의 ‘입지’론과 궤를 같이하는 ‘군자’론이, ‘입신양명’에서 배제된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열패감을 주지 않고 오히려 행복으로 이끌 수 있는 것임을 논의하였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61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McTaggart’s Logical Determinism.Gregory Williams - 1987 - Idealistic Studies 17 (3):219-229.
McTaggart’s Logical Determinism.Gregory Williams - 1987 - Idealistic Studies 17 (3):219-229.
McTaggart’s Logical Determinism.Gregory Williams - 1987 - Idealistic Studies 17 (3):219-229.
Self-determination theory applied to educational settings.Johnmarshall Reeve - 2002 - In Edward L. Deci & Richard M. Ryan (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pp. 2--183.
Self-Determination, Dissent, and the Problem of Population Transfers.Matthew Lister - 2016 - In Fernando R. Tesón (ed.),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45-165.
A Diagnosis and Resolution to the Generality Problem.Klemens Kappel - 2006 - Philosophical Studies 127 (3):525-56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4 (#1,630,023)

6 months
1 (#1,478,83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