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as Hometown of Mind: Heidegger and Modern Architecture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6:65-83 (2019)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은 건축이 마음의 고향을 만드는 일이라는 하이데거의 입론을 따라 현대건축을 살펴보고, 이것이 타당한지를 고찰하고자 했다.BR현대건축은 모더니즘의 문명적 전환기에 등장해서 장식을 배제하고 기능에 충실한 건축을 주창했다. 이는 기능주의 건축으로 불리며 주택의 표준화와 규격화를 통해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국제주의 양식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기능주의의 국제주의에 따라 형성된 현대의 도시는 점점 동질화되고, 거기서 구체적 삶의 질적인 면은 사라져 갔다. 이때 기능주의 건축을 비판하며 건축의 화두는 공간에서 장소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국면에서 하이데거의 존재론이 개진하는 장소론은 이론적 돌파구가 되었고, 크리스티안 노르베르그-슐츠, 케네스 프램튼, 유하니 팔라즈마는 하이데거의 장소론을 통해 이 국면을 타개해 나가는 대표적 건축 이론가들이다. 특히 노르베르그-슐츠는 건축이 하이데거적 의미의 거주함을 짓는 것이고, 그것은 장소의 혼을 드러내는 현상학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케네스 프램튼은 현대 거대도시의 동질화된 비장소성을 비판하고 인간의 모습을 한 장소를 변증법적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유하니 팔라즈마는 건축은 그 속에서 경험하는 감성과 이미지를 재창조하는 작업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BR반면 하이데거는 건축의 문제는 거주의 문제라고 본다. 왜냐하면 인간이 건축하는 한에서 거주하는 게 아니라 거주하는 한에서 건축하기 때문이다. 즉 건축함은 곧 거주함이고, 거주함은 인간의 존재함의 양식이다. 따라서 건축은 존재의 문제이지 주택이나 그 보급과 같은 존재자의 문제가 아니고, 결국 건축은 거주에 대한 존재사유인 것이다.BR이때 두 가지 문제, 즉 존재사유란 무엇인지 그리고 거주함이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가 남는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존재사유는 고향을 그리는 마음 혹은 고향을 만드는 충동이다. 그리고 거주함이란 그의 어원분석에 따라 존재의 평화 속에 소중히 보살핌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건축이란 존재의 고향에 평화롭게 있도록 소중히 보살피는 짓기(Dichten)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짓기는 단순한 제작(techne)이 아니라 존재를 퍼올리는(schöpfen) 창작(poiesis), 즉 존재진리의 비은폐성을 가지고 오는 것이다.BR요컨대 하이데거적 의미의 건축은 현대건축의 추상성에게 장소가 갖는 삶의 실존을 되돌아보게 함으로써 결국 건축이 존재에 대한 사유, 즉 마음의 고향을 만드는 일임을 보여주었다고 생각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49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Otto Wagner's modern architecture.Roger Paden - 2010 - Ethics, Place and Environment 13 (2):229-246.
Heidegger and Modern Architecture.Gerald Lee Walker - 1993 -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ospects for an Ethics of Architecture.William M. Taylor - 2011 - Routledge. Edited by Michael P. Levine.
Architecture as Identity: The Essence of Architecture.Chris Abel - 1980 - In Michael Herzfeld and Margot Lenhart (ed.), Semiotics 1980. Plenum Press. pp. 1-1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0

6 months
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