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살/몸 존재로서의 존재사건과 기술권력. 파쇼적, 신체및, 거룩한, 신체에, 관한, 성찰 & 한상연 - forthcoming - Philosophy and Culture.
    No categories
     
    Export citation  
     
    Bookmark  
  2.  4
    The Bad Faith of Human Dasein and Crime. 한상연 - 2020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4:77-108.
    이 글은 인간 현존재에게 범죄가 존재론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밝힐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논구의 출발점은 범죄에 대한 심판이 존재론적으로는 언제나 이미 사르트르가『존재와 무』에서 자기기만이라고 명명한 의식에 의거해서 일어나는 행위라는 것이다. 이 글의 논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BR1. 사르트르가 자기기만이라는 말로 묘사하는 것은 인간 현존재의 현사실성에 대한 기만적 이해이다. 사르트르에 따르면 나의 실존은 전체적으로 어떤 근본적인 이유도 갖지 않는다. 이성적 이유의 관점에서 보면 실존하는 나의 자유는 부조리하다.BR2. 범죄에 대한 나의 심판은 윤리적으로 존재하거나 윤리적 존재가 되는 것이 나의 실존의 근본적 이유로 인정되어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4
    The Metaphysics of Ex-sistence: Ontological Meditations on The Songs of Maldoror. 한상연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6:53-82.
    이 글의 주요 문제의식은 현존재의 존재방식인 평균적 일상성이 윤리적 · 법적 규범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윤리적 · 법적 규범성이 일상세계에서 근본적이라는 점을 보지 않았다. 바로 이것이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고통, 쾌락, 증오, 분노, 정의, 현존재의 행위에 대한 윤리적 · 법적 정당화 요구 등에 대한 개념이 없다시피 하다는 기이한 사실의 원인이다. 주의할 점은 하이데거의 존재론이 도덕적 선, 덕, 이타심 등 윤리학의 통념적 이념에 호소할 수 없다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하이데거는, 전회 이전이나 이후나, 가치의 이념을 비판한다. 가치의 이념이야말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5
    The Philosophy of ‘Sensual-emotional Correspondedness’ (感通) - A Phenomenological Comparison of Jeong Inbo’s Expositions of Yang-ming Studies (陽明學演論) and - F. Schleiermacher’s On Religion. 한상연 - 2019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3:107-136.
    이 글은 정인보와 슐라이어마허가 의식과 존재에 대한 매우 유사한 관점을 지니고 있음을 드러내려는 취지로 작성되었다. 양자 모두 현상학적 성찰에서 출발한다는 뜻이다. 이 글의 논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BR 1. 정인보와 슐라이어마허는 현상학적 태도를 공유한다. 즉, 양자는 상습적인, 통상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이해의 방식들을 괄호치기한다.BR 2. 정인보와 슐라이어마허는 의식을 세계와 외적 대립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양자에게 우리의 의식과 세계 사이에는 객관적으로 실증될 수 있는 어떤 거리도 없다. 즉, 순수하게 내부적인 의식은 존재하지 않는다.BR 3. 정인보와 슐라이어마허는 일종의 지각현상학을 공유하는 바, 세계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