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7
    Lee Eun-Juk’s understanding on the Great learning. 이원석 - 2018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3:149-176.
    Lee Eun-Jeok, a Confucian scholar in early Chosŏn Dynasty, thought that Zhu Xi’s revision of Daehak(大學) and his “Complementary Explanations of ‘Investigation of Things’” distorted the original intentions of Daehak. He insisted that the phrase “hearing litigations[聽訟]”,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forth explanatory notes by Zhu Xi, should be moved to the latter part of the first chapter of Daehak. Besides, He thought that the phrase “知止而后有定” and “物有本末” were originally the explanatory notes of “Investigation of things and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Study on the Origins of Kant’s Virtue Theory. 이원석 & 김태경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29-47.
    본 논문은 칸트 도덕철학의 최후 저술인 『도덕형이상학-덕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덕론』)의 연원을 체계적으로 추적한 시도이다. 이러한 시도는 칸트 도덕철학에서 『덕론』의 실질적 역할을 밝혀 형식주의 비판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그동안 제기된 칸트 도덕철학에 대한 많은 비판 중에서 형식주의에 대한 비판은 관점을 달리하며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현대에 이르러 영미권을 중심으로 현대 덕윤리가 부상하면서 행위자 부재를 문제 삼는 형식주의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칸트의 『덕론』은 형식뿐만 아니라 도덕적 행위자와 행위의 목적과 같은 실질이 중심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덕론』이 비판기의 저술보다 부차적으로 다뤄지는 것은 대부분의 칸트 연구자들이 비판기를 중심으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4
    Yi Hang-No(李恒老)'s Criticism of Catholicism and Its Ontological Base. 이원석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63-294.
    조선 천주교의 발원지에서 태어나 일생을 보냈던 이항로는 가학(家學)의 영향을 받아 천주교의 확산에 대해 남다른 비판의식을 지니게 되었고, 저술활동 초기부터 천주교 비판에 역점을 두었다. 그는 처음에는 ‘도덕-공장(工匠; 기술)’의 구도를 택하여, 유학은 도덕이고 천주교는 공장에 해당된다고 보아 유학을 높이려고 하였으나, ‘도덕-공장’ 구도의 기원은 도가(道家)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기술이 도덕으로 나아갈 통로로 여겨질 수 있었고, 그에 따라 ‘도덕’도 도가적인 것으로 오인될 우려가 있었다. 이항로는 한유의 입론을 차용하여 도덕과 유가적 핵심 덕목을 결합시키는 한편, 알레니의 『만물진원』에 대한 비판을 통해 ‘공장(기술)’을 ‘형기(形氣)’로 대체한다. 그리하여 그의 만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