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4
    A Reexamination on Edi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 and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김상현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6:73-107.
    이 글은 ‘천명도’와 ‘천명도설’의 판본문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재검토한 후, 수정 ㆍ보완할 점이 있다면 새로운 근거를 통해 기존 주장을 수정 ․ 보완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였다. 정지운이 제작하고 이황이 수정한 ‘천명도’와 ‘천명도설’은 기대승과 이황 간의 ‘사칠논변’을 야기한 근원으로써 조선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도식과 도설은 권근의 『입학도설』을 이어서 이황의 『성학십도』로 나아가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권근으로부터 정 지운을 거쳐 이황으로 이르는 조선 성리학의 심성론 흐름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천명도’와 ‘천명 도설’의 저자 및 저작시기, 그리고 도식과 그에 대한 해설인 도설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A Study on the Theory of Ideal Society of Confucianism - Centered on ‘United Society’ of Yueiji. 김상현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219-248.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주요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유교의 이상사회론에 대해 철저히 연구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유교사상이 지향하는 바람직한 공동체관이 무엇이며, 그러한 공동체에 적합한 올바른 리더(leader)의 모습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본주의와 민주주주의라는 두 체제에서 기인하는 현대사회의 각종 문제를 유교적 관점에서 해소할 수 있는지,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 대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모색할 것이다. 논자는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논어』와 『맹자』, 그리고 『서경』을 중심으로 유가 경전을 검토할 것이다. 그 경전에 등장하는 유교 공동체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6
    A Study on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Toegye s Hyang-yak(鄕約). 김상현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41-78.
    이 글은 우리 전통 내부에 존재했던 자치조직의 흔적을 찾아보고 그것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통해 우리사회에 적합한 자치조직의 모습을 그려보기 위한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우리는 조선향약의 기원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퇴계의 향약 을 주목할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퇴계의 「향입약조」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향 촌자치조직의 규약인 향약의 모습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가 무 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 적합한 자치조직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3
    Criticism of Preceding Studies on Go-hyun Hyang-yak. 김상현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1:59-8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
    The Critical Review on the Alteration of Teogye’s Four-Seven Theory. 김상현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9:67-96.
    본 논문의 목적은 ‘이황이 기대승과의 사단칠정논쟁을 진행하면서 자신의 초기 입장을 변화시켰다’는 최근의 몇몇 연구 결과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황의 초기 입장이 기대승의 비판을 거치면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면밀히 분석해야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어렵다. 이황과 기대승이 주고받은 편지의 분량이 매우 많은 데다, 심오한 성리학적 개념들과 문장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황은 문맥에 따라 성리학적 용어들을 다의적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사단칠정론과 관련된 핵심 주장을 관점에 따라 중층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황의 편지를 온전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용어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