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The Problem of Non-Human Beings’ World-Experiences - Focused on Bogost and Bryant’s Positions. 김영진 & 현남숙 - 2023 - EPOCH AND PHILOSOPHY 34 (3):7-38.
    이 논문은 ‘인간 존재에 대비된 비인간 존재자가 세계를 경험하고 대면할 때, 우리는 그들의 내적인 경험적ㆍ정보적 상태와 내용을 어떻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을까?’라는 물음을 다룬다. 최근에 이 문제는 생태 환경위기, 기후 위기, 인공지능의 출현,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같은 맥락에서 새로운 의미와 중요성을 가지고 등장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위 물음에 대한 답으로 최근 몇몇 철학자들은 이른바 ‘에일리언 현상학’을 통하여 비인간 존재자들의 세계 경험이 무엇과 같은지를 적어도 어느 범위에서 파악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이언 보고스트와 레비 브라이언트가 제시하는 에일리언 현상학의 이념과 특색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7
    Donna Haraway’s Multispecies Ecopolitics: Focused on ‘Becoming-with’ and ‘Response-ability’. 현남숙 - 2021 - Korean Feminist Philosophy 35:79-10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
    Eco-Philosophical Criticism of Transhumanism's View on Life/Death: Focused on the Thoughts of Jonas and Braidotti. 현남숙 & 김영진 - 2024 - EPOCH AND PHILOSOPHY 35 (1):161-192.
    기술시대의 한 새로운 이념으로 트랜스휴머니즘이 발흥하고 있다. 그것은 기술 발달을 통하여 노화와 죽음을 초월하고자 하는 이상을 제시한다. 이 논문은 생명 연장과 죽음 지연 나아가 인간 불멸을 추구하는 트랜스휴머니즘의 이념을 전체적인 생태 차원에서 고찰한다. 여기서 ‘생태’란 동시대 인간과 후세대 인간 그리고 다른 종들과의 연관 관계 속에서 존립하는 전체 환경체계를 일컫는다. 그 같은 시각으로부터 우리는 트랜스휴머니즘의 개체주의적, 행복주의적 생명/죽음관이 부분적인 설득력과 정당성을 갖는다고 하여도 총체적으로는 더 큰 난점을 함유하고 있다고 논변한다. 우리는 이 입장의 현대적인 단초를 한스 요나스의 철학에서, 그리고 그 최근의 발달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6
    Reversibility of Perspectives in Intercultural Dialogue : Focused on Issues of Women in Multicultural Societies. 현남숙 - 2019 - Korean Feminist Philosophy 31:85-108.
    이 글의 주제는 다문화 사회에서 생겨나는 집단문화의 갈등 중 특히 여성 관련 쟁점에 관해 살펴보는 것이다. 상이한 문화의 이해는 ‘관점의 가역성.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
    The Change of Family Narrativ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Care. 현남숙 - 2013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0 (null):95-12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2
    The Figuration of Body Appeared in D. Haraway's The Rhetoric of Cyborg. 현남숙 - 2012 - Korean Feminist Philosophy 18 (null):39-6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4
    The Importance of emotion in feminist culture. 현남숙 - 2007 - Korean Feminist Philosophy 7 (7):189-213.
    이 글의 목적은 여성주의 문화 실천에서 감정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동안 여성주의 문화 운동에서 여성의 의식 고양은 중시되었지만 정작 저항의 자리로서 감정의 역할에 대한 주목은 부족했다. 하지만 감정에 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가부장제에 대한 대항 문화로서 여성주의 문화가 생겨나는 근원을 밝혀낼 수 있다.윌리엄즈의 문화적 헤게모니론을 적용해 보면, 여성주의 문화는 가부장제의 대립항으로 정립된다. 여성주의 문화란 지배 문화로서의 가부장적 문화에 포섭되지 않는 대안적 문화로, 여성의 몸의 경험이나 심리적 기질과 같은 본질적 규정이 아닌 가부장제에 대항하는 문화적 실천들을 의미한다.지배 문화의 저항적 근원에 관한 설명으로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