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7
    Schmitt Reading Hobbes - A Symptomatic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Radical Democracy -. 한상원 - 2023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7:159-183.
    홉스의 독자로서 칼 슈미트는 홉스를 근대적 ‘개인적 자유’와 그 이후의 자유주의라는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버린 인물로 저주한다. 물론 이러한 슈미트의 홉스 해석은 과장이다. 그러나 문제는 단순하지 않다. 이러한 슈미트의 ‘과장된’ 홉스 독해는 슈미트가 봉착한 난관에 대한 어떤 ‘징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닌가? 이 징후를 분석하는 가운데 우리는 슈미트의 이론을 넘어서, 혹은 슈미트를 거꾸로 독해함으로써 현대정치에 대한 정반대의 귀결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것은 자유주의의 역사적 의의를 ‘갈등의 제도화’에서 찾는 것이며, 따라서 자유주의가 낳은 제도화된 갈등의 영역 속에서 헤게모니적인 방식으로 이뤄지는 ‘정치적인 것’의 구성을 이론화하는 급진민주주의의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6
    Adorno’s Reflections on anti-intellectualism - Questions of relation between democracy and intellect -. 한상원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5:23-46.
    본 논문은 진리와 비진리가 구분되지 않는 오늘날의 ‘탈-사실’과 ‘페이크 뉴스’의 시대, 과연 어떠한 지성과 계몽의 역할이 필요한지, 이를 통해 어떠한 민주주의적 정치공동체와 대중지성의 상관성이 필요한지를 논하기 위해아도르노의 반지성주의 비판을 분석한다. 이 글은 근대적 계몽 기획이 어째서 반지성주의라는 역설적 귀결로 전도되었는가를 고찰하며, 이러한 반지성주의가 어째서 민주주의의 위협이 되는가, 대중지성의 창출을 위한 지식인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검토한다. 지식인의 역할은 민주적 정치공동체의 창출조건인 사회의 지성화, 그리고 대중의 주권자로서 주체화 과정을 위한 ‘사라지는 매개자’가 되는 일이다. 이 글은 반지성주의 비판이 바로 그러한 대중지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8
    Hobbes and the Dialectic of Enlightenment: Paradox between Absolute Sovereignty and Self-preservation. 한상원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7:1-25.
    본 논문은 홉스를 통해서 보는 근대 사회에서의 계몽의 변증법을 다룬다. 그 출발점은 자기보존을 위한 자발적 복종이 근대적 주체의 특징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신자유주의로 인한 사회의 해체와 무한경쟁의 도입 이후 오히려 민족적 동일성을 요구하는, 새로운 권위주의를 뒷받침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역설은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가 『계몽의 변증법』에서 분석한 자기보존과 자기부정 사이의 역설적 관계에 상응한다. 이를 밝혀 내기 위해 이 글은 홉스의 『리바이어던』이 보여주는 자기보존의 역설적 특징을 분석하며, 이로부터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계몽의 변증법』이 진단하는 자기보존의 역설을 읽어내고자 한다. 이로부터 ‘자발적 복종’과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
    규정적 부정과 내재적 비판 : 헤겔과 아도르노의 비판적 방법론. 한상원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0:49-73.
    이 글은 아직까지 국내에서 시도되지 않은, 헤겔과 아도르노를 비판적 방법론과 관련하여 연결짓는 해석을 시도한다. 헤겔과 아도르노는 공통적으로 내재적 비판의 방법을 내세운다. 이러한 비판적 방법론은 변증법적 부정성 모델인 규정적 부정을 비판적 방법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수행되었다. 본 논문은 헤겔과 아도르노 양자의 비판적 방법론을 추적하며, 이 두 철학자의 변증법이 어떠한 친밀성과 상이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헤겔의 부정성 개념이 어떻게 내재적 비판으로 이어지는지를 살펴본 뒤에, 이 때 사용된 부정성 개념이 갖는 함의가 논의될 것이다. 또한 아도르노의 비판적 방법론의 특징으로 내재적 자기초월의 이념이 제시될 것이며,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