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5
    A Critique of Moral Judgments Dependent on Body -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 한곽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265-287.
    본 논문의 목표는 몸 의존적인 도덕적 판단을 하는 인간의 상태를 설명하고 이것에 대해 덕윤리의 관점에서 주장할 수 있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덕적 판단에서 이성의 역할이 가지는 중요성과 자기충실성(integrity)의 필요성을 주장할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선 몸의 상태에 의존하는 도덕적 판단에 대한 사례와 실험들을 설명할 것이다. 피니어스 게이지 모형(Phineas Gage Matrix), 최면과 역겨움 실험, 심장박동과 도덕적 딜레마 등에 대해 다룰 것이다. 이 사례와 실험들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도덕적 판단에서 몸의 상태로서의 감정은 필요조건이 될 수는 있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아울러,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5
    A critique of the challenges posed by the experimental moral philosophy. 한곽희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0:153-177.
    본 논문은 세 가지 목적을 추구한다. 첫째, 도덕적 실험과 관련되는 성격에 관한 이론 중 최소 일부 이론이 일종의 오류 이론(error theory)을 지지하게 된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둘째, 도덕 철학에서 논의되는 몇 가지 중요한 실험들의 함축들에 관한 주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셋째, 덕의 존재 여부 혹은 덕과 상황의 상호작용에 관한 실험에서 전심성(wholeheartedness)과 동일시(identification) 개념이 반드시 주목되어야 할 개념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첫 번째 목적을 위해 성격에 관한 주요 이론인 상황주의(situationism), CAPS(cognitiveaffective personality system) 모델, 빅 파이브(Big Five) 모델 등을 다루며, 이 중 일부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7
    Can Happiness be Reducible to Emotional States? - A critical assessment of Haybron’s theory of happiness -. 한곽희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2:189-213.
    이 글은 행복이 감정 상태로 설명될 수 있다는 헤이브론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제점을 제시하기 전에 우선 헤이브론의 행복론을 설명한다. 헤이브론에 따르면,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는 성향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감정 상태를 가지는 것이 행복한 상태이다. 이 주장의 첫 번째 문제점으로 동일시(identification)라는 조건이 제시된다. 헤이브론이 제시하는 조건들을 다 충족시켜도, 그러한 모습을 자신의 모습으로 동일시하지 않으면 행복한 상태일 수 없다고 논자는 주장한다. 또한 헤이브론의 행복론은 행복의 다양한 양상을 포섭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논자는 공시적인(synchronic) 행복과 통시적인(diachronic) 행복 그리고 전체적인 행복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3
    Desires for what one cares about and happiness - A critique of Frankfurt’s view of happiness -. 한곽희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7:153.
    이 논문은 행복에 관한 이론 중 욕구만족이론의 한 형태를 탐구한다. 본 논문에서 추구하는 목표는 두 가지이다. 첫째는, 프랭크프르트(Harry G. Frankfurt)가 제시하는 ‘소중히 여김’(caring)과 ‘의지적 필연성’(volitional necessity)이 행복에 관한 견해를 설명해 주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둘째는 행복에 관해 프랭크프르트가 견지하는 입장의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나는 프랭크프르트의 견해에서 ‘소중히 여김’과 ‘의지적 필연성’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나타내는 근거가 된다는 것을 주장한다. 한 개인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의 성취가 행복이라고 할 때, 소중히 여기는 것을 하는 것과 의 지적 필연성에 의한 힘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6
    Integrity for a happy life. 한곽희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6:109-134.
    본 논문의 목표는 행복한 인간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다. 논자는 자기충실성(integrity)을 가지고 사는 사람이 행복한 인간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논자의 견해에서 자기충실성을 가지는 사람은 특정한 가치나 원리에 헌신되어 외부의 압박이 있을지라도 그 가치나 원리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이다. 자기충실성을 가진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제시하기 전에 우선 기존의 행복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널리 알려졌듯이, 철학 내에서 행복에 관한 세 가지 주요 이론은 쾌락주의, 욕구만족이론, 객관적 명부 이론 등이다. 논자는 이 세 가지 이론들이 나름대로 매력을 지녔지만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자기충실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4
    Moral Hypocrisy and Moral Integrity - A Critique of the View of Daniel C. Batson -. 한곽희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437-458.
    본 논문의 목표는 뱃선(Daniel C. Batson)이 ‘과제 배당 실험’(Task Assignment Experiment)을 통해 제기한 도덕적 자기충실성(moral integrity)과 도덕적 위선(moral hypocrisy)에 관한 주장이 가진 문제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뱃선이 행한 실험에 대해 필요한 만큼 자세하게 설명하고 그 실험 결과를 통해 뱃선이 주장하는 바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 다음에 뱃선이 가진 주장의 문제점을 제시한다. 우선 실험 분석을 통해 뱃선이 제시한 도덕적 위선의 비율이 사실상 그렇게 높지 않다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도덕적 위선을 보였다고 주장되어지는 실험참가자들의 행동이 실은 자신의 거짓말을 끝까지 숨기려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Negative Responsibility and Cause - A Philosophical Exploration of the Concept of Omission -. 한곽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455-478.
    행위자는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하여 도덕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생각이다. 도덕적 책임을 가진다는 것은 그 책임과 관계된 행동을 야기했다는 것을 함축한다. 그런데 도덕적 책임과 인과 관계의 흥미로운 점이 있다. 행위를 하지 않은 것이 어떤 사건을 야기했을 경우 그것에 대해서도 도덕적 책임을 묻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행위부재는 예외 없이 항상 도덕적 책임의 근거가 되는가? 본고의 목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는 방법 혹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우선 두가지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소극적 책임에 대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