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5
    A Critical Review on the Procedures of ‘the Socratic Dialogue’. 이재현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213-248.
    레오나르드 넬손이 새롭게 주창하고 그의 제자 구스타브 헥크만이 계승·발전시킨 ‘新 -소크라테스 대화’의 방법이 구체적으로 실행되는 절차의 표준적 모델을 비판적으로 검토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이에 필자는 넬손-헥크만 전통의 대화 방식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데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단체인 GSP(Gesellschaft fuer Sokratisches Philosophieren)가 제시하는 대화 실행의 표준적 실행 모델을 중심으로 요스 케쎌스의 ‘모 래시계-모델’과 데트레프 호르스터의 대화 실행 모델을 소개하고, 각 모델을 이 대화의 방법적 원리인 ‘추상의 역행적 방법’의 수행이라는 관점에서 비교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 해 각 모델이 가지는 방법론적 장단점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9
    A Critical Study on Theoretical Justification of ‘the Socratic Dialogue’ according to ‘the Socratic Paradigm’. 이재현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4:327-370.
    본 논문의 목표는 라우파흐-스트레이가 넬손과 헥크만의 전통에 따라 계승·발전된 ‘소크라테스 대화’의 이론적 근거로 제시한 ‘소크라테스적 전형’을 플라톤에 의해 전승된 ‘소크라테스 철학’으로부터 어떻게 이론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 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소크라테스 대화’와 관련해서 ‘소크라테스적 전형’이 제시 된 이유를 우선 살펴보고, 9가지 요소들로 구성된 ‘소크라테스적 전형’을 하나씩 소개한 후, 이를 ‘플라톤의 소크라테스’를 통해 정당화할 것이다. ‘소크라테스적 전형’의 9가지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1) 철학함의 장소로서 아고라: 소크라테스 대화의 개방성과 공공 성, (2) 경험에 근거를 둠: 소크라테스 대화의 방법론적 원리, (3)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7
    A Critical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Application of ‘Socrates’ Midwifery’. 이재현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1:233-253.
    본 논문은 플라톤에 의해 해석되어 구현된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방법으로서 ‘문답식 대 화법(=변증법)’과 플라톤 대화편 『테아이테토스』에서 묘사되는 ‘소크라테스의 산파술’과 의 관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필자는 우선 ‘산파술’에서 ‘논박술’을 배제하여 이해하려는 해석 전통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이해가 편협되어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필자는 『테아이테토스』에서 묘사된 ‘산파술’은 반드시 ‘논 박술’과 결합된 방식으로 사용되는 방법임을 관련 텍스트의 분석을 근거로 주장한다. 또 한, 플라톤에 의해 기획된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은 논박술과 함께 상기술로 구성됨으로써 ‘소크라테스적 문답식 대화법(=변증법)’ 전체를 지칭하는 비유로서 이해되어야 함을 입증 하고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5
    The Rules of Socratic Dialogue and The Role of Dialogue Leaders. 이재현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7:203-236.
    본 논문의 목표는 소크라테스적 방법의 전형에 따라 넬손과 헥크만에 의해 계승 발전 된 새로운 소크라테스 대화 의 규칙을 소개하고 이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규칙은 소크라 테스 대화 의 본질을 규정하는 구성적 규칙과 대화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유용한 수단을 규정하는 규제적 규칙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넬손과 헥크만의 전통으로부터 나온 소크라 테스 대화 는 이러한 규칙을 전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개괄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나는 헥 크만이 제시하는 대화 지도자를 위한 교육적 방책도 살펴볼 것이다. 소크라테스 대화 의 실천에서 일반적으로 대화 지도자는 대화의 목적 달성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