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
    Descartes and 'Cogito' controversy. 이근세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297-319.
    본 논문은 데카르트의 코기토 개념에 대한 알키에와 게루의 논쟁을 중심으로 데카르트 철학의 의미를 규명한다. 알키에는 코기토에서 존재와 사유를 실체와 핵심적 속성으로서 구분하는 반면, 게루는 존재와 사유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는 입장을 표명한다. 알키에는 사유로 환원되지 않는 존재의 체험을 강조하고 게루는 지성을 본성으로 갖는 코기토에 의해 단일한 이성적 체계가 구축된다고 본다. 알키에의 관점은 나와 신의 존재가 논리적 차원이 아니라 형이상학적 발견이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우리의 유한성을 직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반면, 존재와 사유, 그리고 형이상학과 과학을 지나치게 구분함으로써 학의 수립을 위한 데카르트의 기획을 약화시킨다. 게루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2
    Logos and Taoism - Focused on François Jullien's interpretation of Laozi and Chuang-tzu -. 이근세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325-351.
    이 글은 서구적 이성의 기초를 이루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로고스 개념과 노장 사상에 대한 프랑수아 줄리앙의 비교분석을 논의한다. 로고스와 노장의 비교분석에서 줄리앙은 도가 사유의 운행과 내재성 개념을 통해 우회함으로써 로고스 개념을 낯설게 바라보고 그 편견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우회적 작업은 단지 서구적 이성을 해체하는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서양철학에서 로고스를 기초로 확립해온 ‘대화’와 합의의 전통은 언어에 대한 노장 사유의 관점과 비교할 때 특히 정치적 차원에서 중요한 가치로서 다시 강조되어야 한다. 동시에 우리는 서구의 로고스 전통을 통해서는 삶의 가치로 내세울 수 없었던 ‘묵인’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Methodology and problem of practice in Blondel’s philosophy. 이근세 - 2015 - The Catholic Philosophy 25:157-183.
    본 논문은 행동철학의 창시자인 모리스 블롱델(Maurice Blondel, 1861-1949)의 관점에서 철학적 방법론과 실천의 문제를 다룬다. 블롱델의 처녀작이자 주저인 ????행동????(1893)은 출간되자마자 프랑스 학계에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철학자들과 신학자들로부터 상반된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이런 비난은 블롱델의 철학적 방법론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다. 본 논문은 블롱델의 철학적 방법론의 정확한 의미를 규명함으로써 그가 구상했던 철학과 종교의 관계를 조명한다. 블롱델에 따르면 행동과 실천은 자족적이지만 이런 직접적 방법은 그것을 사용하는 이에게만 적용되므로 행동의 보편적 가치를 제시하려면 과학적 증명 방법인 간접적 방법 또는 실천에 대한 학이 요청된다. 간접적 방법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3
    Persecution of Joseon Catholicism and the Principle of Tolerance. 이근세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6:223-246.
    본 논문은 조선후기의 천주교 유입과정을 주제로 관용의 원리를 규명한다. 종교와 정치의 극단적 대립과 그 해소 과정을 보여준 조선후기의 천주교 박해 및 정착과정을 정치철학적으로 조명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역사 ․ 종교 ․ 철학을 접목시키는 관점에 서있다. 구체적으로 스피노자의 정치철학을 매개로 종교와 사상에 대한 관용은 지배체제의 유지에 유용하다는 점을 이론화함으로써 사회균형 방안을 논구한다. 정치권력은 사상 및 신앙의 외적 표현에는 개입할 수 있어도 그 내적 원리 자체를 통제할 수는 없다는 스피노자의 관점을 토대로 조선 후기의 천주교 수용과정과 관련 역사를 논의하고 그로부터 종교와 정치의 명확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3
    Relationship between Methodology and Religion in Blondel’s philosophy. 이근세 - 2017 - The Catholic Philosophy 29:173-200.
    본 논문은 모리스 블롱델의 철학에서 방법론의 근거와 범위를규명하고자 한다. 블롱델에 따르면 인간의 구원은 자연적 삶이 아닌 초자연적 삶에서 획득될 수 있다. 인간은 절대적 타자에게 의거할 때 비로소 자기 자신에게 이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점은 블롱델이 종교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그는 기성 종교의 입장을 전제하면서 삶의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철학자이기를 원했다. 인간이 초자연적 선물을 통해서만 해방될 수 있다고 말하는 것과 초자연적 선물이 실제로 제공되었다고 말하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블롱델은 철학적방법을 통해 두 번째 주장을 금지한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