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2
    Application and Practice to Moral Education of Eco-feminism ― Focus on the bio-ethics and ecologicalㆍenvironmental ethics of 2007 amended moral and ethics textbook ―. 이경희 - 200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5):275-301.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0
    Application of Project Approach to Moral Education - Focus on the Bio-Ethics Problems of 『Life and Ethics』 according to 「2012 Curriculum」 -. 이경희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9):237-261.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7
    A Study on a Real Situation and Effective Measures in Youth Cyber - Prostitution. 이경희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5):239-270.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
    An understanding of Tolerance - Descartes's Generosity as a Virtue -. 이경희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239-257.
    데카르트의 관대함은 소극적 관용이나 강자의 윤리로서의 관용을 넘어서는 적극적 관용의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데카르트의 관대함은 세속적 덕의 전형이다. 태생적인 도량보다 자유에 기초한 관대함을 선택했던 데카르트는 이것을 정념 그 이상의 덕으로서 모든 덕에 이르는 열쇠로 지목한 것이며 이제 우리는 이것이 정당한 자부심에 필적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관대함의 관건은 자유와 자부심이다. 이것은 그의 관용 개념이 한 개인의 주체적인 자기중심적 기초에서 기능하고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관대함은 자의식, 자기 인식에 기초한 세속적인 도덕의 제일원리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도덕학의 영역에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Descartes's Moral Stand -The Bridge between Christianity and the secular rationalism-. 이경희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263-29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3
    Ethics in the Era of BT-ICT Convergence. 이경희 - 2016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0):1-21.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5
    Moral Crisis, Moral Intelligence and Moral Education. 이경희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3):99-121.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6
    Sex and Birth-control : Social-Ethics and lntegrated Accesses to an Abortion. 이경희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9):191-213.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3
    Science and Politics, Ethics of Scientist. 이경희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3):135-157.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1
    Science ― Technology and Gender, Science in Feminism. 이경희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6):75-103.
  11.  3
    The Duality of Gapjil Standards Interpreted by Nietzsche’s Moral Philosophy - The Root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Gapjil -. 이경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321-344.
    어떤 사회이든 甲과 乙이 존재하기에 甲질은 발생하기 마련이다, 특히 甲이 주인정신을 상실하게 되면. 모든 생명체에게는 지배하고자 하는 의지, 甲이 되려는 의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 세계는 權力意志다, 그리고 그것 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甲질 역시 권력의지의 산물이다. 그런데 참된 甲은 자신이 고귀한 존재임을 인지하고 있기에 자신의 권력의지를 천박한 甲질로 실현하지 않는다. 甲질은 자신이 우월한 위치에 있음을 확인하려는 노예, 즉 乙의 만행이다. 주인정신을 상실한 乙이 더 약한 乙에게 권력의지를 실현하는 것이 甲질이다. 乙은 기회가 되면 “怨恨” 풀이하듯 甲질하면서도 그것을 정당한 권리행사라 간주한다. 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2
    The Problem of Happiness and the Highest Good in Descartes’s Moral Theory. 이경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345-362.
    데카르트의 도덕론에서 ‘최고선’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잘 사는 삶’의 문제와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다. 그는 전통적인 윤리와 근대의 새로운 윤리 사이에서 전대의 도덕적 목표를 당연한 것으로 간주하고 이를 실현하는 수단이나 방법만을 탐구한 것이 아니며, 도덕적 목표들 그 자체에 대한 의문과 관심을 여러 곳에서 드러낸다. 이성을 통한 자연의 통제와 그 방법론은 자연학의 프로그램을 넘어서는 그의 도덕론을 통해 그 의미를 더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다.BR 최고선에 관한 데카르트의 논의들은 크게 두 가지 논제들에 관련되어 있다. 최고선의 본성과 행복에 대한 최고선의 관계에 관한 문제이다. 데카르트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3.  2
    The Problem of Light and Vision in Descartes"s Optics. 이경희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23-45.
    데카르트가 탐구한 빛과 시각의 문제는 우주론이나 자연학 나아가 근대적 지각 이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데카르트는 전통적인 자연철학을 대체할 수 있는, 물체와 지각에 관한 새로운 설명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데카르트는 개별 현상이 아니라 ‘자연의 모든 것들’을 설명하고자 하였고 이는 ‘완전한 자연학’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 이 완전한 자연학을 위한 논고는 『세계 또는 빛에 관한 논고』였다. 그것은 빛을 중심으로 한 세계에 관한 논고였으며 이것은 데카르트가 생각하는 새로운, 근대적 자연에 대한 이해를 보여준다. 이것은 새로운 우주와 세계를 해설하는 근대적인 자연학을 위한 보편적인 체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