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2
    A Research in Dunhuang Manuscripts of Editorial Form. 원혜영 - 2011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2:295-32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3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Instinct and Vāsanā. 원혜영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6:341-36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Is it justified to the greatest gift from Vessantara? Focused on politics and ethics. 원혜영 - 2015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3 (null):147-18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
    Seven Conditions of the Welfare of a Community. 원혜영 - 2008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24:139-16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The Mystery of the Ucchanga-Jatāka. 원혜영 - 2016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5:191-21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3
    The Relation of Buddha and Cakkavatti Kings in Funeral Ceremony: With a special focus on the early mahAparinirvaNasuttanta. 원혜영 - 2007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23:73-9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3
    The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Buddha and Sāriputta’s Process of Buddhist Death. 원혜영 - 2014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8 (78):233-256.
    불교 이전부터 4선정은 요가 및 다른 사상 속에 펴져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사리불이 초기 교단에 합류하면서 불교 전통으로 편입되었다. 붓다와 사리불의 입멸 입출과정에 4선정은 위상을 얻게 되었다. 또한 초기열반경의 이본(異本)들과 설일체유부 등의 텍스트에서 반복과 변형을 거쳐 입멸 입출과정의 타당한 이유를 거론하기에 이르렀다. 초기부파 텍스트에서 발전적으로 각각의 선정 단계의 특별한 뜻과 심리적 상황을 반복적으로 조명한다. 초기부파 텍스트들이 4선정을 거론하여 그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이유는 뭘까? 4선정에 대한 정의는 초기부파 텍스트에서 거의 이견 없이 표명하고 있다. 초선은 수행자가 하나의 대상에 전념할 때 욕계의 탐욕에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1
    Why do we try to get merit through Pratyekabuddha? 원혜영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5:323-34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