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2
    A Reconsideration on the Original Meaning of Zhong(中) and Its Changes in the Zhouyi(周易). 원용준 - 2016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8:221-25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2
    A Study on Research Methodologies in Unearthing the Yi Jing. 원용준 - 2016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5:267-28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A study on the special signs In Shanghaibochujian-ZhouYi. 원용준 - 2010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0:161-19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6
    A Study on the Philosophical Features of Fanwuliuxing(凡物流形) and Its Theory of Death and Life. 원용준 - 2016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5:7-3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2
    A Study on Qin hexagram in the Shanghai Museum Zhou Yi manuscript. 원용준 - 201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6:181-20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청화간 『금등』의 문헌적 성격과 사상사적 의의. 원용준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2:95-12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1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의『맹자』관에 대한 일고찰. 원용준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1:131-15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The Thought of Language in the Silk-Manuscript Yi-chuan(易傳) from Ma-wang-dui(馬王堆). 원용준 - 200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4 (24):347-383.
    본 논문은 마왕퇴 백서 『역전』에 보이는 ‘言’을 전국시대의 제자백가 사상, 특히 유가와 도가 사상과 비교, 고찰하는 것을 통해 전국시대에서 전한초기에 이르는 시기의 유가 사상의 변화 과정과 『주역』의 유교경전화 과정을 규명한 것이다. 마왕퇴 백서 『주역』은 고대 『주역』의 본모습을 복원하고 그 사상적 변화과정을 추적하기에 대단히 유용하고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마왕퇴 백서 『역전』의 자료적 성격을 살려서 ‘言’이라는 중심 테마를 통해 『주역』이 철학서이자 유교경전으로 변모해 가는 모습과 유교가 당시의 제자백가 사상, 특히 도가사상과의 교류와 투쟁을 통해 새로운 유교사상으로 변모해 가는 모습을 명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선진시대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