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
    A study on the concept of immutability emerged in the Han time. 엄진성 - 2012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6:169-19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4
    A Study on the Music and Dancing of Confucius - 『the Analects of Confucius』A Study on the parilmu. 엄진성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341-359.
    이 논문은 이제까지의 詩와 樂을 중심으로 한 연구와 다르게, 문자와 언어 이전의 몸짓 그리고 인류의 가장 오래된 소통의 도구로서의 춤을 중심으로, 발생학적 관점에서 춤의 기원을 살펴보고(2장) 춤이라는 구체적 사례에 나타난 공자의 사유를 분석하면서, 감정과 소통 그리고 이들의 조화를 중심으로 문제를 풀어가고자 한다. 그리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해볼 수 있다.BR 공자의 악무는 첫째 그 대상이 인간에 있으며 그 목적은 소통에 있다. 둘째 악무를 통해 공자가 얻고자 하는 소통은 보편적 감정을 내용으로 가지며 따라서 인류의 보편적 공감을 바탕으로 삼는다. 셋째 공자의 인류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
    A Study on the Shame of Mencius. 엄진성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8:213-231.
    유가 철학은 공자 이래로 인간을 긍정의 대상으로 바라보았다. 이는 인간이 감정 또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감정은 주관의 영역이며 따라서 모든 사람이 같게 느끼는 공통의 감정을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만약 그런 감정이 있다면 이들은 대부분 인간의 본능에서 비롯된 동물적 욕구의 발현이라 할 수 있다. 만약 동물적 욕구가 아닌 가치적 내용은 지닌 보편적 감정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 도덕적 감정이라 불릴 수 있을 것이다. 맹자 철학은 공자철학을 계승 발전시켰다. 여기에는 인간의 감정에 대한 논의도 포함되는데 이 연구는 이점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주된 문제의식은 주관적인 감정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5
    Elationship Theory in the Metaverse Era through Kwak Sang’s Philosophy - Focusing on Value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 엄진성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2:307-333.
    COVID19 이후 대면에서 비대면 사회로 생활 공간이 옮겨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메타버스 플랫폼에 관한 부모 자녀 사이의 가치충돌 및 정체성에 관한 문제이다. 21세기는 지금껏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시대이다. 기성세대, M-세대, Z-세대 그리고 α-세대에 이르기까지 기술의 발달과 그에 따른 사회의 변화는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고 그 과정에서 문화 지체가 발생했다. 세대 간에는 보이지 않는 벽이 생겨났으며 그것은 사회적 문제로 거론되기까지 했다. 특히 α-세대 자녀와 부모 사이에서 발생하는 가치충돌의 문제는 부모와 자식이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4
    Modern Sun-Bee Interlectuals and Religion. 엄진성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295-319.
    근대 한반도는 격동의 시기였다. 당대를 살아간 지인들은 유교적 가치로 무장한 선비들이었다. 하지만 약 500년을 이어온 유교의 패러다임은 더 이상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을 수용하지 못했고 그 결과 선비 지식인들은 새로운 돌파구 찾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종교와의 만남이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종교는 타력적 형태뿐만 아니라 자력적 형태를 포함한 일종의 믿음에 기초한 수신적 형태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유교 또한 그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독교와 유교의 충돌, 새로운 종교의 출현, 수단과 목적에 의한 종교간의 위계질서 등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4
    Park Sun’s Philosophy through Seo Kyung-duk’s World View. 엄진성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1:217-238.
    이 연구는 서경덕 학파인 박순의 철학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박순의 철학은 존재하는 사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그 전체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다만 『思菴集』과 『栗谷全書』에서 보이는 3번의 왕복서를 통해 그 윤곽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 왕복서 속에서 보이는 철학적 담론은 그의 학문적 세계가 독창적임을 짐작케 한다. 아쉽게도 독창적인 주장에 비해 왕복서에 보이는 전거들을 그 핵심만을 이야기하기 때문에 불친절 하다. 이 때문에 그의 스승인 서경덕의 철학적 세계를 요청한 후 그것에 미루어 박순의 주장을 살펴 볼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곡해나 견강부회 될 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7
    Seo Gyeong-deok School and the Folklore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 Focused on I Ching philosophy of Seo Gyeong-deo -. 엄진성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547-568.
    『역전』은 崇德廣業과 道器合一의 聖人觀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그 가운데 廣業과 器에 초점을 맞춰서 서경덕의 철학을 풀이하고자 했다. 또 그가 『주역』을 교조적으로 보지 않고 세계해석의 도구로 사용했으며 그것을 통해 그의 철학과 우주관이 도출되었음을 전제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서경덕은 『주역』의 개념 가운데 至와 止를 뽑아내야 그만의 독창적 철학의 토대로 삼았고 다시 이 개념들의 실천을 위해 靜의 工夫에 집중했음을 논증했고, 나아가 그의 학문적 성격이 단순히 강단에만 머물지 않고 현실의 문제에 적극적 참여하여 민생과 경세에 주의를 기울이게끔 하였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그리고 이것이 결과적으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3
    Theory of Ti-Yong(體用論) in Professional Athlete Sportsmanship, viewed through Sunja and Hanbiza philosophy. 주동진 & 엄진성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3:271-285.
    이 연구는 프로선수의 스포츠맨십에 관한 연구 중 한 갈래이다. 프로선수의 스포츠맨십은 프로선수가 지향해야 할 자세 혹은 마음가짐을 뜻한다. 다만 그 개념이 추상적이기에 이를 하나로 규정화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다양한 각도의 접근 또한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동양의 체용론(體用論)을 통해 이 문제를 풀이하고자 한다. 프로선수의 스포츠맨십은 선수의 올바른 태도 또는 양심으로 치환될 수 있다. 그것은 승리와 결과를 최우선으로 삼는 프로선수에게 있어 일종의 제어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로선수는 기본적으로 승패와 결과를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기기에 자칫 목적을 위해 정도(正度)를 넘는 수단과 방법을 마련하기도 한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4
    Xunzi-Ja’s Philosophy, Amateurism and Physical Education. 엄진성 & 정병석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441-458.
    순자철학과 아마추어리즘 그리고 체육교육은 서로 다른 역영이지만 인간의 욕망과 교육을 다룬다는 점에서 접점을 찾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아마추어리즘의 개념적 정의를 확보한 후 이를 순자의 철학에 적용시켰다. 그리고 다시 체육교육에 이들 개념을 적용시킴으로써 ‘순자의 아마추어리즘을 통해 본 체육교육’이란 주제에 대한 유의한 결과를 도출했다. 그 내용은 순자가 인간의 심리를 性- 情- 欲그리고 慮의 개념을 통해 드러낸 것에 착안해 이들 관계를 새롭게 정립시킨 후 이것이 아마추어리즘과 체육교육에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순자의 化性起僞는 체육교육 이 지향하는 ‘협동’, ‘자기개발’, ‘공동체 정신’, ‘창의성’,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