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
    The Possibility of the Associativist Account of Political Obligation. 성창원 - 2024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9:139-164.
    정치적 의무(political obligation)를 정당화하는 것은 시민이 왜 국가의 법을 준수해야 하는지와 관련되는 정치철학의 중요한 주제이다. 정치적 의무에 관한 철학적인 작업은, 보통 계약론적 설명, 공정성에 근거한 설명, 감사에 근거한 설명 등으로 분류된다. 이런 통상적인 입장들 외에도 이른바 연대주의(associativism)가 있다. 필자의 주된 목표는 정치적 의무에 대한 연대주의적 설명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타진하는 것이다. 연대주의자들은 우리가 어떤 공동체나 집단의 멤버로 속하게 되면 바로 거기에서 도출되는 특정한 의무들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예를 들어 가족이나 친구 같은 특별하고 개인적인 관계에서 상대방에 대한 그리고 그 관계를 유지해야 할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Moral Externalism. 성창원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279-30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A Study of Moderate Impartialism. 성창원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235-255.
    온건한 공평주의에 따르면 도덕은 기본적으로 공평성을 지니지만 그것은 편향성의 이유와도 양립 가능하다. 이러한 입장을 옹호하기 위해서는 편향성의 이유들을 적극적으로 논구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이유들을 이해하는 입장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한편으로 환원주의에 따르면 편향성의 이유들은 근본적으로 도덕의 이유들에 의해 정당화되며, 다른 한편으로 비환원주의에 따르면 그 이유들은 주어진 편향성을 지지하는 구체적 가치들의 고유한 구조와 내용에 의해 담보되며 도덕의 이유들로 환원되지는 않는다. 비환원주의적 입장은 도덕의 이유들로 환원되지 않는 편향성의 이유들의 독립적 성격을 인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그리고 온건한 공평주의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7
    Hypocrisy and Blame - A Relationship Theory Approach -. 성창원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169-192.
    비난에 대한 관계이론은 위선인이 비난할 수 있는 지위를 상실하게 되는 과정을 주로 근거 상실 테스트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월리스는 이 테스트는 개인적 관계에서는 충분히 작동 가능하지만 도덕적 관계에서는 그리할 수 없다는 비판을 제기한다. 필자는 이런 비판에 대한 그의 논거가 빈약함을 보인다. 월리스가 제기하는 또 다른 비판은 관계이론이 이른바 위선 테스트를 무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위선적 비난인은 자신이 비난하고자 하는 행위자의 도덕적 잘못을 스스로 범하지는 않았는지를 고려해보는 비판적 자기검열에 실패했기 때문에 그 지위를 상실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런 주장은 비난을 전형적인 도덕적 가치에 대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3
    Is the Assurance View of Promissory Obligations Vulnerable to the Circularity Objection? 성창원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6:135-160.
    확신견해에서는 약속인이 피약속인에게 어떤 것을 할 것이라고 말할 때 후자가 그것이 일어날 것임을 확신하게 됨에 주목하고, 전자가 이렇게 형성된 확신에 반해 행위 하는 것이 그르다고 본다. 따라서 약속인에게는 그 행위를 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것이 바로 약속이행의 의무가 된다. 그런데 피약속인이 약속인의 말을 확신할 수 있는 유일한 (그리고 강력한) 근거가 바로 약속이행의 의무에 대한 약속인의 사전 인식이라면 확신견해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스캔런은 약속인이 적절한 주의 원칙을 따를 때 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보지만, 콜로드니와 월러스는 이 원칙은 약속인의 의도의 지속성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6
    The Trust View of Promissory Obligations: A Critical Examination. 성창원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5:95-118.
    이 논문의 주된 목표는 프리드릭과 사우스우드가 제안한 약속의무에 대한 신뢰견해의 한계를 보이는 것이다. 신뢰견해에 따르면, 약속인이 피약속인에게 무엇을 하겠다고 약속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피약속인으로 하여금 그것을 신뢰하게끔 요청하는 것이다. 이 견해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해석에 따르면, 이렇게 형성된 신뢰를 저버리는 것이 그르므로 약속인은 자신이 말한 대로 행위 해야 할 의무를 지니게 된다. 바로 이런 방식으로 약속의무가 설명된다. 먼저 필자는 신뢰견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뢰 개념 자체에 대해서 논한다. 특히 이 개념을 프리드릭과 사우스우드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다음으로 이를 바탕으로 신뢰견해에 대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