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6
    An Interpretation Controversy Surrounding Van Gogh’s Old Shoes. 류의근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6:31-56.
    이 글은 하이데거, 샤피로, 데리다 사이에 있었던 반 고흐의 낡은 구두 그림에 관한 논쟁을 (1) 구두의 임자 문제 (2) 그림의 특정 문제 (3) 예술의 본성 문제로 주제화하고 그 순서대로 세 사람의 주장과 그들 사이의 논쟁을 따라가면서 조명하고 그에 대해 각각 비판적으로 논술하고 평가하며 그 함의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서 세 사람 사이의 가교를 마련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필요성을 언급하고 그 현실성을 전망하고자 한다. 첫째, 구두의 임자 문제에 있어서 하이데거는 자신의 존재론적 예술론을 언급하기 위한 대상으로 낡은 구두 그림을 선택했기 때문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4
    Anti-Imperial Subjectivity : Jesus. 류의근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245-270.
    한국 사회와 사람들을 지배하는 힘의 원천이 경제와 시장의 논리, 언론 권력, 그리고 학벌 체제라는 점은 어렵지 않게 동의할 수 있다. 자본 권력, 언론 권력, 교육 권력은 시민을 훈육하고 통제하는 주권 권력이라고 말해진다. 이러한 주권 권력이 훈육과 통제를 통해서 보통 사람들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고 지배하는 논리와 구조가 될 때 제국 또는 제국주의가 탄생한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제국적 질서와 권력의 지배를 받는다는 점에서 제국적 현실을 살고 있다. 이 점에서 제국은 우리의 삶의 스타일이다. 사실상 우리는 제국적 현실을 자동적으로 살아가는 제국적 주체들이라고 할 수 있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
    Jesus as a Radical Humanist. 류의근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6:131-156.
    이 글은 영국의 종교 철학자 돈 큐핏의『예수와 철학』(Don Cupitt, Jesus and Philosophy, SCM Press, 2009)에 대한 서평으로 쓴 것이다. 이 책은 18개의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 은 예수의 도덕성에 대해 매우 창의적이고 독보적이며 특색 있는 해석을 제시한다. 이 책의 서 평을 위한 서술 방법은 기존의 유형과는 다르게 비판적 사고의 9가지 성찰에 따라 수행된다. 비 판적 사고의 9가지 성찰을 소개한 후 이를 서평 도서에 적용함으로써 본 서평논문을 구성하고자 한다. 비판적 사고의 성찰은 다음과 같은 범주로 진행된다. ①해명하기 ②해방하기 ③자기각성 ④전달하기 ⑤탐색하기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The Flesh in History. 류의근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413-431.
    본 논문은 메를로-퐁티의 실존적 역사 이론을 신체 현상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그 중심 기조는 역사적 경험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이해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대기적으로 메를로-퐁티의 역사 이해는 후설의 후기 현상학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하는 것이 합당하다. 후설은 후기 사상에 와서 역사를 현상학적으로 새롭게 규명하는 기획에 도전한다. 이 도전 덕분에 역사는 현상학적으로 씌어질 수 있고 현상학은 역사 연구의 방법론적 지위를 획득한다. 역사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인식하는 것은 역사에 대한 현상학의 공로가 될 것이다. 현상학적 역사 인식은 역사의 자기 인식적 특징에서 시작된다. 역사의 자기 인식성은 역사에서 아프리오리한 것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