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
    A Critical Review of 'Modernity' in Modern Buddhist Studies of Korea. 정창조 & 김원명 - 2016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0:305-33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A Comparative Study on Wonhyo’s ‘One mind two aspects(一心二門)’ and Zhu Xi’s ‘The Theory that Mind Controls Human Nature and Emotion(心統性情)’. 이혜영 & 김원명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303-325.
    이 논문은 원효(元曉, 617-686)의 ‘한마음의 두 측면’[一心二門]과 주희(朱熹, 1130-1200)의 심통성정(心統性情)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원효의 ‘한마음’과 주희의 ‘마음’은 각각 참으로 그러한 ‘고요한 측면’[眞如門]과 ‘생겨나고 사라지는 측면’[生滅門], ‘본성’[性]과 ‘감정’[情]을 포괄하고 있다. 전자는 체상용의 구조이고, 후자는 체용의 구조다. 이는 마치 역(易) 철학시대의 고대 동아시아의 세계 이해를 담고 있는 이태극(二太極)과 삼태극(三太極)을 연상시킨다.BR 원효는 ‘한마음’에서 ‘하나’는 둘이 없는 하나로서 이해되기 어렵지만 ‘본성 스스로 신비롭게 이해하는 지각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래서 ‘마음’이라고 한다. 한마음 두 측면에서 고요한 측면인 진여문은 마음의 본체(本體)를 가리키고, 생겨나고 사라지는 측면인 생멸문은 상용(相用)이라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A Study on Harmonization thoughts in Wonhyo and King Jungjo. 안효성 & 김원명 - 2015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5:9-3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8
    A Study on Chéng I's Criticism on Zen Buddhism in 『Míngdàojíshuō』. 권선향 & 김원명 - 2013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9:188-21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5
    A Study on the Change of Hong, Dae-Yong(洪大容)'s View of the World and its Contemporary Meaning. 김원명 & 서세영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2:171-18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2
    Critical Analysis on Understanding of TASAN(茶山) Philosophy Appeared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by HAN, Ja-Gyeong. 김원명 - 2013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0:101-12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2
    Has an individual life been determined, or not? - Focused Hanmaum thought by Seon Master Daehaeng Kunsunim -. 김원명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101-11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3
    The Problem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Fû Hexagram[復卦] based on Zhu Xi[朱熹]'s Theory of Psychology.Kim Kwangsoo & 김원명 - 201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2:281-31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11
    The Trolley Problem for Wonhyo and the New Normative Ethnical Theory.Jeong Jin Kyu & 김원명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4:215-23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6
    A Study on Wonhyo’s Hwajaeng Thought in North Korea - Focusing on ‘Hwajaeng Thought’ and ‘(Hwajaeng) Dialectics’ Found in Han, Myeong-hwan’s (2010)『History of Joseon Philosophy』(2) -. [REVIEW] 김원명 - 2023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7:41-66.
    본 연구는 한명환 (2010)의『조선철학전사』(2)에 나타나는 “원효의 철학 및 사회정치사상” 가운데 ‘화쟁 사상’과 ‘(화쟁) 변증법’을 소개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BR 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처음에 “들어가는 말”이 있다. 두 번째로 북의 철학사상 연구 배경으로 ‘병영체제’의 ‘수령주의’와 ‘사회주의’ 체제를 살펴봤다. 세 번째로 “한명환의『조선철학전사』(2)와 ‘원효의 철학 및 사회정치사상’”을 살펴봤다. 이 내용은 북의 기존 연구들이 누적된 결과물이기에, 누적된 연구물들과 이 책 내용을 함께 소개했다. 네 번째로는 “원효 화쟁사상의 본질: 주체적이며 변증법적 사상이지만 지배계급 요구 반영”을, 다섯 번째로 “원효 화쟁의 논리: 발전된 변증법적 사유지만 상대주의적 궤변”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