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1
    What is Wrong in Having a Superstitious Belief? 김동현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2:71-92.
    미신을 믿는 것은 오류임에도 불구하고 현대에도 미신이 여전히 널리 받아들여진다. 왜 사람들이 미신을 믿으며 미신을 믿는 것이 무엇이 잘못되었는가에 대해서는 과학과 논리학에 입각한 답변이 있지만, 기존의 답변은 몇 가지 점에서 만족스럽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은 다음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한다. 첫째, 현대 사회에서조차 사람들은 여전히 미신적 믿음을 지닌다는 진술의 정확한 의미를 파헤친다. 둘째, 미신에 대한 믿음이 철학적 시각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미신에 관한 스피노자와 흄의 견해를 정리하고, 그로부터 미신에 대한 믿음은 개인적 믿음의 수준과 사회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9
    An Analysis of the Concept of Post-Truth. 김동현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8:33-60.
    탈진실 현상이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침에 따라 철학자들은 그 현상의 원인과 대안을 모색하는 논의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논의의 기초로서 탈진실 개념 자체에 대한 명료화를 시도한다. 탈진실은 거짓임의 한 종류로 생각하기 쉬우나, 필자는 탈진실 개념이 ‘거짓임’ 개념을 통해 정의되지 않는다는 것을 진리 동일론 하에서 ‘거짓임’을 규정하는 문제와 비교하여 서술할 것이다. 이어서 필자는 탈진실 개념에 포함된 ‘진실’은 사실적 진리와 평가적 진리를 모두 포함하지만, 이는 평가적 진리를 탈진실 현상 안에 어떻게 포괄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다음으로 ‘탈진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4
    Prime Condition of Knowledge and Meno Problem. 김동현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65-84.
    플라톤의 대화편 『메논』에서 제시되는 메논 문제는 지식이 단순하게 참인 믿음보다 더 가치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에 대한 대답은, 지식이 단순하게 참인 믿음보다 더 가치가 있다는 플라톤의 결론을 받아들이는 비-교정주의와 그의 결론을 거부하는 교정주의로 나뉜다. 비-교정주의자인 티모시 윌리엄슨의 지식 이론에 의하면, 지식은 가장 보편적인 사실적 심적 상태이며 다른 인식론적으로 유관한 개념보다 더 근본적이다. 그리고 지식이 성립하기 위한 조건 역시 근본적이다. 즉 그는 지식 조건은 외재적 조건과 내재적 조건의 결합이라는 전통적인 생각을 거부한다. 이러한 지식 조건 근본성 논제로부터 지식은 단순하게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4
    Plurality of Domain and Plural Truth. 김동현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0:221-246.
    진리 다원주의는 진리 속성 기반의 다원성에 의존하며, 그 기반의 다원성은 통상적으로 논의 영역의 다원성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논의 영역을 어떻게 구획할 것인지와 주어진 원자명제가 특정한 논의 영역에 속하는지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의 문제는 다원주의자들에게 중요한 문제가 된다. 대표적인 진리 다원주의인 린치는 원자명제가 단 하나의 논의 영역에 속한다는 그의 가정이 문제를 일으킴을 인지하고 2013년에 자신의 견해를 수정한다. 한편 와이어트는 원자명제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논의 영역에 속할 수 있음을 허용하면서 진리 속성의 발현자는 단일하게 고정하는 전략을 택한다. 또한 에드워즈는 원자명제가 단 하나의 논의 영역에만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