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
    Literacy in the Age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 Walter Benjamin and Digital Literacy -. 고현범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2:23-44.
    이 글은 리터러시,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벤야민 사유의 현재성을 논의했다. 확장된 의미에서 리터러시란 복잡한 사회적 현상들에 적응하고 대처하는 능력이자 새로운 도구와 방법으로 의사소통하는 역량으로 이해된다. 이에 디지털 리터러시에서 사회문화적 차원의 리터러시 활동 또한 강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리터러시와 미디어로서 디지털 리터러시라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두 가지 접근 방식에 비추어 벤야민의 미디어 사유와 리터러시 사유를 논의했다.BR 우선 모홀리 나기의 언명을 단초로 미래의 리터러시에 대한 벤야민의 사유를「사진의 작은 역사」,「생산자로서의 작가」,「신문」에 등장하는 생활관계들의 문자화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생활관계들의 문자화란 연극, 사진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
    Philosophy’s Role in the humanistic fusion and complex education - In the Focus of Domestic and Overseas Examples. 고현범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1-21.
    정보사회 혹은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과 정보, 지식과 삶의 관계는 새롭게 변화한다. 지식과 정보의 소유가 곧 자본으로 연결되는 사회에서 도구적 이성을 실현하는 실용적 학문에 대학과 학생들이 관심을 집중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흐름일 수 있다. 그러나 정보사회에서 현실은 다소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구적 이성에 기반한 기술 집약적 산업의 발달과 정보사회로의 진입은 역설적으로 새로운 인문 정신을 요구한다. 이 때 대학에서 철학의 역할은, 그 자체로 인문 융복합적인 함축을 갖는, 리버럴 아츠 정신을 기반으로 비판적이고 탁월한 인간을 길러내는 데 있다. 취업이나 창업을 목표로 하는 대학생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The Social philosophical Meaning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Focusing on Liberal Ethics and Discourse Ethics. 고현범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1-20.
    이 글은 세계화 시대 상호문화적 대화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으며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문제를 사회철학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상호문화적 대화의 철학은 각 문화의 원칙적 동등성의 인정, 즉 상호문화성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르면 어느 문화에나 철학은 존재하며 각 문화의 조건을 반영한다. 따라서 하나의 철학이 독점적 우위를 차지할 수 없기 때문에 상호문화적 대화의 철학이 출발하는 지점은 잠정적일 수밖에 없다.BR 이 글은 포넷-베탕쿠어의 논의에서 출발한다. 쿠바출신으로 독일에서 활동하는 그의 학문적 이력 자체가 상호문화적이며, 무엇보다 그의 논의는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이 주도한다는 점에서 좋은 삶과 정의의 관점에서 사회발전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