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ymbol of Plum Blossom and Method of ‘Self-cultivation’ in Yi, Hwang`s ‘Maewhasichop(梅花詩帖, Poems on Plum Blossom)’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2:281-305 (2023)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이황의『매화시첩』에 나타난 ‘매화’의 상징을 재검토함으로써 그의 학문적 지향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간의 연구에서 매화는 자신의 형상화이자 절우節友와 같은 교감의 대상, 천리天理로 대변되는 성리학적 사유 등으로 해석되곤 했다. 그러나 흔히 애증의 감정은 늘 인격적 존재이자 특정한 누군가를 염두에 둔 경우가 많을 터, 여기서는 학문적 우상과 삶의 정신적 표상으로 주희朱熹와 이동李侗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60대 이후의 매화시에 보이는 달빛 아래 ‘한매’와의 교감은 나와 천리가 하나되는 ‘심여리일心與理一’을 깨닫는 과정이며, 이황이 산수 간에 은거하면서 현실과의 적절한 거리를 유지한 채 수기지학修己之學으로 자신의 심신을 단련하는 데 몰두했던 것도 바로 이러한 매화의 강력한 이끌림과 곁에서 늘 자신을 지켜보고 있다는 판단때문이었다. 그렇기에 그는 늘 마음공부인 정좌靜坐를 통한 미발 때 천리의 체인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출처出處에서도 이러한 점이 반영되어 시의時宜와 의리義理, 즉 상황과 명분을 내세우며 나아가기보다 물러나기를 원했다. 이렇게 그는 진정한 치인을 위한 수기를 더욱 돈독히 하고자 했으니, 이러한 학문적 지향이 모두 매화의 상징적 함의에 온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67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Nonoverlapping magisteria.Stephen Jay Gould - 1997 - Natural History 106 (2):16--22.
In Memory of Xiaobo: Romantic Knight, Wandering Minstrel, Free Thinker.Li Yinhe - 1999 - Contemporary Chinese Thought 30 (3):96-100.
Verse: The Plum Ripens.Pinkie Gordon Lane - 1963 - Pacific Philosophical Quarterly 44 (3):368.
Plum Brandy: Croatian Journals.Erica Johnson Debeljak - 2005 - Common Knowledge 11 (3):489-489.
Plum Brandy: Croatian Journals (review).Erica Johnson-Debeljak - 2005 - Common Knowledge 11 (3):489-489.

Analytics

Added to PP
2023-08-01

Downloads
3 (#1,722,480)

6 months
2 (#1,241,79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