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alogy of Practical Reason: On the Methodological Change in Habermas’ Late Philosophy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1:79-107 (2020)
  Copy   BIBTEX

Abstract

2019년 하버마스는 90세의 나이에 그의 생애 최대 분량의 저작 『또 하나의 철학사』(Auch eine Geschichte der Philosophie) 1, 2권을 세상에 내놓았다. 이 저작으로부터 회고해 보면, 하버마스 스스로 비판이론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것으로 평가했던 『의사소통행위이론』 이후에도 그의 방법론에 중요한 변화 내지 보완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는 그 변화를 ‘탈초월화’로부터 ‘계보학’으로의 중심 이동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두 방법 모두 실천적 합리성을 해명하고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이다. 다만 탈초월화가 실천적 합리성을 현재의 여러 이론 조각들로부터, 즉 전방으로부터 혹은 공시적으로 설명하려 한다면, 계보학은 후방으로부터 혹은 통시적으로 해명하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탈초월화가 실천적 합리성의 불가피성을 말하고자 한다면, 계보학은 실천적 합리성의 부정이 가능하긴 하지만 이성적이지 않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나는 두 방법론의 차이가 중요한 이론적, 실천적 문제의식의 변화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하버마스가 어떤 이론적, 실천적 필요에서 계보학적 방법에 점차로 더 큰 비중을 두는지, 그의 계보학적 방법의 특징이 무엇인지, 왜 계보학적 접근에서 신앙과 지식 내지 종교와 철학의 관계에 주목하는지, 그런 계보학적 고찰의 이론적, 실천적 결실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내가 보기에 하버마스가 계보학적 고찰로 눈을 돌리게 된 것은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의사소통행위이론 및 토의윤리학의 제한성에 대해 자각하게 되었고 인간의 자기이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과학주의적 사고를 비판할 필요성이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실천적 측면에서 그의 계보학은 종교가 여전히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현실에서 민주주의를 어떻게 구상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본 논문의 서술은 이론적 문제에 보다 중점을 둘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61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abermas over genealogie, metafysica en godsdienst.Henning Tegtmeyer - 2021 - Algemeen Nederlands Tijdschrift voor Wijsbegeerte 113 (2):263-277.
Transcendence in Postmetaphysical Thinking. Habermas' God.Maeve Cooke - 2019 - European Journal for Philosophy of Religion 11 (4):21-44.
Jürgen Habermas on the Way to a Postmetaphysical Reading of Kierkegaard.Klaus Viertbauer - 2019 - European Journal for Philosophy of Religion 11 (4):137-162.
Habermas and the `Post-Secular Society'.Austin Harrington - 2007 - European Journal of Social Theory 10 (4):543-560.
Habermas II.David M. Rasmussen & James Swindal (eds.) - 2010 - Los Angeles: SAGE.
Postmetaphysical Thinking.Melissa Yates - 2011 - In Barbara Fultner (ed.), Juergen Habermas: Key Concepts. New York, USA: Routledge. pp. 35-53.
The Axial Age, social evolution, and postsecular consciousness.Eduardo Mendieta - 2018 - Critical Research on Religion 6 (3):289-308.
Emancipatory Social Science and Genealogy.Lee Kerckhove - 1995 - Philosophy in the Contemporary World 2 (1):19-26.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4 (#1,630,023)

6 months
3 (#984,71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