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meanings of transindividuality in Simondon’s philosophy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5:47-73 (2018)
  Copy   BIBTEX

Abstract

개체초월성은 시몽동의 철학을 자연주의에서 인간주의로 이행하게해 주는 개념이다. 그것은 개체화론의 일반적 기획에서 물리생물학적 체제와 인간학적 체제를 구분하게 해 주는 기준이다. 개체초월성은 정신적 개체화와 집단적 개체화의 두 측면에서 접근함에 따라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한다. 즉 개체가 스스로를 넘어선다는 의미와 개체들이 집단적인 것으로 구조화된다는 의미가 그것이다. 개체와 집단은 상호연관된 동시적이고 지속적인 생성이다. 개체는 스스로를 넘어서서 주체로 거듭나고 개체들은 서로를 관통하면서 집단의 생물학적 성격을 벗어나 인간의 집단으로 된다. 개체초월적 활동은 이미 완수된 개체화를 벗어나 개체가 가진 전개체적 퍼텐셜을 더 광대한 차원으로 증폭시키는 끝없는 역동성이다. 이런 점에서 시몽동에 있어서 인간주의는 그의 자연주의와 모순되지 않는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93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L'acte fou.Muriel Combes - 2004 - Multitudes 4 (4):63-71.
Blockchain as a medium for transindividual collective.Juho Rantala - 2019 - Culture, Theory, and Critique 60 (3–4):1–14.
Disparate Politics: Balibar and Simondon.Daniela Voss - 2018 - Australasian Philosophical Review 2 (1):47-53.
On Étienne Balibar’s ‘Philosophies of the Transindividual’.Vittorio Morfino - 2018 - Australasian Philosophical Review 2 (1):84-93.
Balibar and Transindividuality.Mark G. E. Kelly & Dimitris Vardoulakis - 2018 - Australasian Philosophical Review 2 (1):1-4.
Résister à Simondon ?Isabelle Stengers - 2004 - Multitudes 4 (4):55-62.
Penser le politique avec Simondon.Jacques Roux - 2004 - Multitudes 4 (4):47-54.
Spinoza: From Individuality to Transindividuality. [REVIEW]Ueno Osamu - 2008 - Studia Spinozana: An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Series 16:278-28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4 (#1,640,992)

6 months
1 (#1,512,99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