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bandonment of the Content-force Distinction and the Frege-Geach Problem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6:309-332 (2017)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명제를 행위 유형으로 봄으로써 명제의 단일성 문제를 해결하려는 최근의 시도들 중 하나인 피터 행크스의 작업을 검토한다. 그에 따르면, 명제의 단일성은 서술 행위에 의해 확보되는데, 서술 행위는 본래적으로 주장 효력을 갖는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내용-효력 구분이 폐기된다. 이에 대해 비판자들은 그가 프레게-기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그들이 가정하는 것과는 달리 행크스의 취소 맥락이라는 장치는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렇지만 그의 작업과는 별도로 프레게-기치문제에 대한 답은 여전히 제시될 필요가 있다. 나는 프레게-기치 문제가 제기되는 방식 자체가 이미 논리학과 의미론을 거의 동일시하는 전통적인 그림의 일부라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이 문제에 답하고자 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57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Unity and the Frege–Geach problem.Christopher Hom & Jeremy Schwartz - 2013 - Philosophical Studies 163 (1):15-24.
The Force and Content of the Geach-Frege Problem.Dave Beisecker - 2011 - Southwest Philosophy Review 27 (2):93-97.
The Force and Content of the Geach-Frege Problem.Dave Beisecker - 2011 - Southwest Philosophy Review 27 (2):93-97.
What is the Frege-Geach problem?Mark Schroeder - 2008 - Philosophy Compass 3 (4):703-720.
On Redrawing the Force-Content Distinction.Christian Georg Martin - 2019 - Nordic Wittgenstein Review 8 (1-2):175-208.
Content, Mood, and Force.Francois Recanati - 2013 - Philosophy Compass 8 (7):622-632.
Quasi-realism, negation and the Frege-Geach problem.Nicholas Unwin - 1999 - Philosophical Quarterly 49 (196):337-352.
The Frege-Geach Problem.Jack Woods - 2017 - In Tristram Colin McPherson & David Plunkett (eds.), The Routledge Handbook of Metaethics. New York: Routledge. pp. 226-242.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6 (#1,467,817)

6 months
3 (#984,71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