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 Grosz"s Corporeal Feminism through the Lens of New Materialism: centered on the body as a "threshold" with "non-reductive sex difference"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7:1-29 (2023)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엘리자베스 그로스의 육체유물론이 신유물론의 렌즈로 가장 잘 독해할 수 있음을 보인 후, 그의 ‘문지방’으로서의 몸이나 ‘비환원적 성차’와 같은 개념이야말로 생물학적 결정론이나 사회구성주의적 환원이라는 극단에 빠지지 않고 ‘몸’을 설명하는 이론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이 논문에서 우선 로지 브라이도티와 함께 신유물론 페미니즘이 물질을 살아있는 것, 다층적 관계를 맺는 이질적 집합체, 서로 다른 권력의 위치를 체현함, 되기의 과정으로 재형상화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나아가 필자는 그로스의 ‘문지방’으로서의 몸이야말로 이러한 신유물론적 물질 개념에 토대를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로써 몸은 수동성 대상이 아니라 몸과 정신, 자연과 문화가 쌍방향적으로 복잡하게 관계를 맺고 있는 체현의 지점이 되며, 안과 밖의 드나듦 속에서 지속되면서도 변이하는 살아있는 물질이 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몸의 무쌍한 흐름과 변화를 강조하는 그로스가 “비환원적 성차”를 포기하지 않는 이유를 신유물론적으로 설명하고, 성차를 성차 되기로 독해할 때 생물학적 결정론이나 사회구성적 환원주의라는 오명 나아가 트랜스섹슈얼을 배제한다는 오해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41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Mattering: feminism, science, and materialism.Victoria Pitts-Taylor (ed.) - 2016 -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Feminism, materialism, and freedom.Elizabeth Grosz - 2010 - In Diana H. Coole & Samantha Frost (eds.), New Materialisms: Ontology, Agency, and Politics. Durham, NC, USA: Duke University Press. pp. 139-157.
Book Reviews. [REVIEW][author unknown] - 2007 - Metaphilosophy 27 (1‐2):230-269.
Volatile Bodies: Toward a Corporeal Feminism.Elizabeth Grosz - 1994 - St. Leonards, NSW: Indiana University Press.

Analytics

Added to PP
2023-07-13

Downloads
12 (#1,092,021)

6 months
6 (#531,81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