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pirical Time and Time as a Logical Construct - The Poetic Application of Kant’s Theory of Time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0:57-81 (2019)
  Copy   BIBTEX

Abstract

칸트 철학에서 시간 개념은 항상 중요하게 거론되지만 쉽게 논의의 대상으로 흡수되지 못해왔다. 본 연구는 경험적·주관적 측면에서의 시간 현상을 칸트의 시간론에 근거하여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칸트의 비경험적, 불연속적 시간 즉 “논리적 구성물로서”의 시간의 의미를 시적 반추를 통해 재해석한다. 첫째, ‘시간은 경험의 소여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만약 시간이 경험의 인과적 연속물이라면, 지난 과거의 경험내용에 대한 재의미화는 없다. 이러한 점에 의문을 제기한 롱펠로우의 시는, 시간이 결과로서의 경험으로부터 왜 구분되는지를 반증한다. 두 번째 물음은 시간에서 경험적 의미가 사라진다면, 시간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이다. 칸트와 마찬가지로 헤세는 자신의 시 〈한탄〉에서 시간을 ‘틀’이라고 지칭한다. 심지어 그는 시간에 그 어떤 도덕적 가치나 의미가 부여될 수 없다고 암시한다. 스톨베르크의 시는 다름 아닌 그 이유를 제공해주는 단초가 된다. 셋째, 한스 마이어호프의 경험적 시간에 대한 해명으로부터 본 연구는 칸트의 ‘경험’과 ‘현상’의 관계를 설정하고, 이로써 논리적이고 구성적인 시간의 의미가 시의 시간 개념에 내재해 있음을 밝힌다. 넷째, 본 논문은 쉼보르스카의 시를 통해 내면에 변화하고 상상되고 사라지는 시간의 모습들이 선형 구조로만 이해될 수 없음을 규명한다. 요컨대, 칸트의 시간론으로 분석한 시 속에 시간은 경험에 예속된 현상이 아니라, 경험적 사건 및 이야기와 생각들이 새롭게 기술되고 재해석될 수 있는 사유의 무한 지평이다. 시간은 경험의 근원적 조건이자 현상하는 모든 것의 가능 조건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90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Schelling’s Criticism of Kant’s Theory of Time.Wong Kwok Kui - 2010 - Idealistic Studies 40 (1-2):83-102.
Kant on the Experience of Time and Pure Imagination.Yaron Senderowicz - 2022 - International Journal of Philosophical Studies 30 (2):144-161.
En-counterings of Time.Werner Hamacher & Peter Hanly - 2016 - Philosophy Today 60 (4):839-849.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3 (#1,725,134)

6 months
2 (#1,250,89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